본문 바로가기
728x90

음식과 건강/산야초119

매듭풀 효능, 먹는 방법 매듭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길가나 하천가 등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잎을 양쪽으로 당기면 V자 형으로 뜯어지는 특징이 있어서 매듭풀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높이는 10~30cm 정도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 잎이 모여 있으며, 작은 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 너비 5~8mm 정도이며 끝이 둥글며 잎자루는 짧습니다. 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1~6개가 모여 피며, 길이 5mm 정도입니다. 꽃자루는 짧고 작은 포는 5~7막이 있습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털이 있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깁니다. 열매는 핵과로 약 4mm 정도이며 납작하고 둥근형입니다.. 2021. 9. 9.
붉은토끼풀 효능, 먹는 방법 붉은토끼풀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유럽이 원산으로 전 세계에서 자라며, 토끼풀처럼 잎 표면에 흰 무늬가 있습니다. 붉은토끼풀은 높이 30~6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의 3출엽 입니다. 잎 하나의 길이는 3~5cm, 너비는 1~3cm로 달걀형이거나 긴 타원형입니다.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자주빛 또는 홍자색 꽃이 빽빽하게 모여 두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주로 강가나 냇가의 풀밭 등 물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큰토끼풀에 비해 잎이 두 세배 정도 더 크고 중앙에 흰 문양이 선명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효능 붉은토끼풀은 이소플라본 성분이 콩의 20배에 달하고, 다양한 비타민(B1, B2, E, K)이 풍부하며, 쿠마르산, 시토스테롤, 람네틴,.. 2021. 9. 4.
속단 효능, 먹는 방법 속단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끊어진 근골을 이어준다는 해서 한약명도 속단(續斷)이라 하며, 관절과 뼈, 근육의 통증, 골절상 등에 도움을 주는 약재입니다. 주로 야산이나 숲속에서 자생하며, 습기가 많고 약간 그늘진 비옥한 토지에서 잘 자랍니다. 크기는 1m까지 자라며, 줄기는 사각이며, 잔털이 많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하트 모양입니다. 잎의 길이는 10~13cm, 너비는 8~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4~5개씩 층층이 돌아가면서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입술꽃인데 윗입술은 모자 모양으로 흰 털이 많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집니다. 효능 속단은 맛이 쓰고 매우며,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약성은 간과 신장에서 작용합니다.. 2021. 9. 3.
제비꽃 효능, 먹는 방법 제비꽃은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제비가 돌아올 무렵에 꽃이 핀다고 해서 제비꽃이라고 부르는 설과 꽃의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아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옛날에 이 꽃이 필 무렵이면 북쪽에서 오랑캐들이 쳐 들어왔다고 해서 오랑캐꽃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꽃 뒤쪽에 있는 꿀주머니가 오랑캐의 머리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제비꽃은 우리나라에만 60여종 가까이 있을 정도로 종류가 많습니다. 모양과 형태 및 꽃의 색깔도 자색, 흰색, 노란색 및 혼합된 색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색은 자색이며,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긴 자루로 자라는 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옆으로 비스듬히 퍼집니다. 높은 산의 숲속.. 2021. 9. 3.
소리쟁이 효능, 먹는 방법 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바람이 불면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소리풀', '소루쟁이'라고도 합니다. 약간 습한 땅을 좋아하고 전국의 어디에서나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어린잎과 순은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은 좀 있다. 대변을 잘 통하게 하고 해독하며 출혈을 멈추고 살충한다. 살균작용, 수렴작용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살균작용은 안트라글루코시드와 탄닌글루코시드에 의하여 나타난다. 다량에서는 설사를 읽으키는 데 이것은 안트라키논 화합물에 의한 것이다. 변비, 토혈, 설사, 이질, 구토, 습진, 옴, 소양증(瘙痒症), 태선(胎癬) 등에 쓴다.”고 기록되어 있.. 2021. 8. 30.
환삼덩굴 효능, 먹는 방법 환삼덩굴은 삼과의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이며, 대마를 삼이라고 하는데, 대마와 같은 과의 식물로 잎이 대마를 닮았으며, 줄기에 나 있는 가시가 쇠붙이를 갈 때 쓰는 연장 환하고 닮아서 환삼덩굴이라고 합니다. 보리가 영입될 때 들어온 귀화식물이라는 연구도 있으며, 중국이나 일본을 통해 유입이 되었다는 추측도 있으나 너무 오래되어서 귀화식물이 아닌 토착식물로 보기도 합니다. 번식력이 왕성하며, 칡처럼 덩굴로 주변 식물을 타고 올라가 그늘지게 하여 죽게 하는 골치 아픈 잡초지만, 약성이 뛰어난 약초입니다. 줄기에는 잔가시가 선으로 일렬로 나 있는데, 스치면 상처가 나기 때문에 ‘껄껄이풀’이라고도 합니다. 환삼덩굴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두꺼운 긴 바지와 장갑을 끼고 들어가야 하며, 맨손으로 약재를 채취하여서는 안.. 2021. 8. 27.
구릿대 효능, 먹는 방법 구릿대는 산형과의 당귀속에 속하는 3~4년생 초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주로 산과 계곡의 가장자리에서 자랍니다. 뿌리를 주 약재로 사용하고 한약명은 백지(白芷)이며, 잎을 백지엽(白芷葉)이라고 하며 약재로 사용합니다. 다른 산형과(미나리과) 식물들은 습한 곳을 좋아하지 않는데, 구릿대는 유독 물기를 좋아 하고 생장속도가 미국자리공에 뒤지지 않게 성장하며, 겉모습과 달리 줄기속이 텅 비어있고 수분이 많습니다. 높이는 1~2m 정도이고, 잎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오며, 타원형으로 길이는 5~10cm 정도입니다. 6~8월에 흰 꽃이 피며, 10월에 타원형의 열매는 맺습니다. 뿌리줄기에는 수염뿌리가 많이 돋아 있습니다. 줄기는 약간의 구릿빛이 돌며 속이 비어있고 키가 커서 마치 대나무 같아서 구릿대라고 불리게 .. 2021. 8. 25.
귀룽나무 효능, 먹는 방법 귀룽나무는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교목으로 가구와 조각재로 사용하는 만큼 크게 자라는 목본식물이며, 학명은 입니다. 대부분의 나무들이 아직까지 겨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3월 하순부터 싹이 나오기 때문에 예부터 귀룽나무가 잎이 피기 시작하면 농사일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귀룽나무는 구름나무 또는 구룡목(九龍木)이라고도 합니다. 벚나무와 생김새와 비슷하나 가로로 줄 무늬가 있는 벚나무와는 달리 흑갈색 수피가 세로로 갈라지는데, 그 모양이 마치 아홉 마리의 용이 꿈틀거리는 듯해서 구룡목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구룡목이 변해 귀룽나무가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벚나무는 산중에서 잘 자라나, 귀룽나무는 버드나무처럼 물기를 좋아해서 계곡 부근이나 들에서 잘 자랍니다. 꽃은 4~5월에 나무 전체.. 2021. 8. 22.
능소화 효능, 먹는 방법 능소화는 능소화과의 덩굴성 목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덩굴이 나무에 달라붙어 하늘을 향해 높게 오르는 특성에서 능(陵, 능가할 능), 소(霄, 하늘 소)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능소화는 독성이 있고, 특히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을 한다는 속설이 있어서 키우는 것을 꺼려했던 나무이나, 산림청의 능소화 유해성 연구를 통해 독성이 없고, 섭취를 해도 안전한 약초로 밝혀졌습니다. 능소화는 독성이 없으며, 꽃, 잎과 줄기, 뿌리 전초를 한약재로 사용하며, 생즙으로 마시는 익모초나 간에 좋은 헛개나무와 비슷한 약초로 나타났습니다. 능소화는 담쟁이덩굴처럼 줄기의 마디에 생기는 흡착뿌리로 건물의 벽이나 다른 물체에 지지하며 자랍니다. 꽃은 가지 끝에서 주황색으로 피어나며, 7월부터 9월까지 .. 2021. 8. 20.
산수유 효능, 먹는 방법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의 목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한약명은 그대도 산수유라고 합니다. 겨울에 잎이 지며,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노랗게 꽃이 피는데, 생강나무 꽃하고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비슷합니다. 전국에 산수유마을이 많이 생겨날 정도로 산수유는 잘 알려진 약재입니다. 특히 지리산 기슭의 구례 산동면과 산내면은 산수유 산지로 유명하며, 구례에서는 옛날부터 산수유를 길러 왔으며, 몇 그루만 있어도 자식을 대학까지 보낸다고 했습니다. 한약명 산수유는 산수유나무 열매에서 씨를 빼고 말린 과육을 말합니다. 산수유 약재가 비싼 이유는 산수유 약효가 좋은 것도 있지만, 씨를 하나씩 일일이 빼내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산수유 씨에는 팔미탄산, 올레인산, 리놀렌산 같은 유익한 지방유로 .. 2021. 8. 20.
화살나무 효능, 먹는 방법 화살나무는 노박덩굴과의 식물로 학명은 이며, 홑잎나무, 참빗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가지에 회갈색 코르크 날개가 달렸는데, 그 모습이 화살깃처럼 생겼다고 해서 화살나무라고 합니다. 갈잎 떨기나무로 키는 3m가 넘지 않으며,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습니다. 잎 뒷면은 털이 거의 없고, 잎자루는 아주 짧으며 가을에 붉게 단풍이 듭니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연한 녹색의 꽃이 피며, 열매는 삭과로 9~10월에 타원 모양으로 붉게 익습니다. 다 익으면 껍질이 벌어져 주홍색 씨가 나옵니다. 효능 화살나무의 한약명은 귀전우라고 하며, 맛은 쓰고, 찬 성질을 가집니다. 주 약재는 어린가지와 날개이며 뿌리에도 약성이 있습니다. 연중에 수시로 날개 달린 어린 가지를 채취해서 햇볕에 말렸.. 2021. 8. 20.
음나무 효능, 먹는 방법 음나무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의 목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다른 이름은 엄나무라고 합니다. 사포닌 성분은 물론, 갈락토스, 글루코스, 리그난, 쿠마린,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음나무는 지역에 따라 개두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두릅나무에 비하여 쓴 맛이 강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실제로 두릅나무보다 더 좋다고 알려지면서 음나무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재배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집니다. 가지에 날카롭고 억센 가시가 많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7월에 어린 가지 끝에서 연노랑색 꽃이 피며, 10월에 열리는 열매는 둥근 핵과로 1~2개의 씨를 담고 .. 2021. 8. 18.
차풀 효능, 먹는 방법 차풀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이며, 옛날부터 차를 대신하여 마셨다고 해서 차풀이라는 불리게 되었습니다. 차풀은 시골의 길가나 메마른 땅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아주 흔한 식물로 차를 끓여 마시면 좋은 향과 단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유사한 식물로 같은 콩과의 자귀풀이 있으며, 자귀풀은 녹색 줄기에 속이 비어 있으며, 주로 습지에서 자생을 하나, 차풀은 메마른 모래나 자갈땅에서도 잘 자라고, 줄기는 단단하게 채워있으며, 줄기는 붉은 색을 띕니다. 봄철의 어린잎과 순은 나물로 먹거나, 데쳐서 무침이나 튀김, 국거리 등으로 식용할 수 있습니다. 차풀이 다 자라면 60cm 정도이며, 꽃은 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으로 한 두 송이씩 피어납니다. 차풀의 한약명은 산편두라고 하며, 주 약재는 지상부이.. 2021. 8. 18.
달맞이꽃 효능, 먹는 방법 달맞이꽃은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로 남미(칠레)가 원산지이며, 학명은 로 귀화식물입니다.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이면 시들기 때문에 달맞이꽃이라고 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주로 둑길이나 하천, 제방 같은 곳에서 자생합니다. 봄철의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를 생으로 식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꽃, 종자를 모두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식물입니다. 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뿌리를 캐서 약재로 사용하거나, 발효액을 만들어 먹습니다. 꽃이 피는 시기의 뿌리는 목질화가 되어 딱딱하며, 약성이 모두 위쪽으로 올라와 있기 때문이며 약효가 거의 없습니다. 효능 달맞이꽃은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성은 없습니다. 한약명은 월견초 또는 대소초라고 하며, 씨앗은 월견자라고 합니다.. 2021. 8. 17.
쇠뜨기 효능, 먹는 방법 쇠뜨기는 소가 잘 먹는 풀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해서 실제로는 잘 먹지 않는다고 하네요. 모양이 뱀과 닮았다고 해서 '뱀밥'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고사리와 같은 양치식물로 속새목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학명은 입니다. 원자폭탄이 떨어졌던 히로시마에서 가장 먼저 새싹을 틔운 것이 쇠뜨기였다고 하며, 방사능의 열선에서도 저항력이 높은 강인한 식물로 알려졌습니다. 쇠뜨기는 생식줄기와 영양줄기가 있습니다. 생식줄기는 담갈색으로 4~5월에 피어나며, 황색 포자낭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자로 번식을 하기도 하고, 뿌리줄기로 번식을 하기도 하며, 포자가 떨어지면 말라 죽습니다. 포자는 수분을 받아서 전엽체로 자라며, 전엽체에서 암수의 생식기가 생기고 수정을 거친 후 영양줄기가 싹이 .. 2021. 8.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