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地支)
지지(地支)는 하늘의 기운을 받은 땅의 기운으로 천간처럼 순수한 기운이 아닌 땅의 작용에 의해 복잡하게 나타나는 기운입니다.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2자로 구성되며, 각 글자에는 많은 뜻과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흔히 나이를 물어볼 때, 띠를 물어보는 경우를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지지는 년, 월, 일 등 시간의 단위로 사용되기 때문에 띠를 알면 나이를 알 수 있습니다. 띠에 해당하는 동물은 12년에 걸쳐 반복이 되기 때문에 같은 띠의 사람이라도 대략 나이를 알기에 충분합니다. 우리나라는 쥐(子), 소(丑), 호랑이(寅), 토끼(卯), 용(辰), 뱀(巳), 말(午), 양(未), 원숭이(申), 닭(酉), 개(戌), 돼지(亥)로 나타내며, 태국, 미얀마, 베트남의 경..
2021. 3. 24.
음양오행
음양론은 동전의 앞과 뒤, 하루의 낮과 밤 등 어떠한 개념에 양면성을 부여한 이론이며, 오행론은 만물의 근원을 나무(木), 불(火), 흙(土), 쇠(金), 물(水)로 보았으며, 각 기운은 상생과 상극으로 상호작용하여 생성 및 소멸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목(木)은 강하게 상승하는 기운, 화(火)는 주변으로 확산하는 기운, 토(土)는 수렴하는 기운, 금(金)은 변형되는 기운, 수(水)는 응축하고 결속되는 기운을 의미한다. 음양오행설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의 추연(騶衍)이 음양과 오행에 관한 민간신앙과 이론을 조합하여 철학적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후 분서갱유 이후 유학자들이 유교를 재정립하면서 음양오행의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유교의 전파와 함께 동아시아 문화권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음양오행론은 모든 ..
2021. 3. 23.
명리학
명리학은 목숨 명(命)에 다스릴 리(理)를 쓴다. 자평진전(子平眞詮)에서는 '명(命)은 불신할 수 없는 것이어서 명을 아는 군자라면 마땅히 순리로써 그 바른 명을 받아들임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명리학은 운명을 알고, 순리를 받아들이며, 궁극적으로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있도록 하는 학문이다. 명리학은 음양오행론에 기초하여 이론으로 정립되었으며, 음양오행론은 세상만물의 근원을 목, 화, 토, 금, 수 다섯가지 기운의 상호작용과 각 기운은 음과 양 양면의 성질이 있다고 보았다. 이들 이론이 유행한 시기는 중국의 전국시대이며, 유가, 도가, 법가들처럼 수많은 백가들 중의 하나가 오행가, 음양가로 발전하였다. 한의학은 기존에 존재하던 침구, 경락, 본초이론 등의 나름의 정립된 이론들을 당시의 최신 ..
2021.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