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타리 효능, 먹는 방법
분류하늘타리는 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숙물입니다.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밭둑에 자생하는 하늘타리의 잎은 어긋나고 단풍잎처럼 5~7 갈래로 자라며, 7-8월에 흰꽃이 피고 열매는 둥글고 타원형 핵과로 10월에 노란색 또는 오랜지색으로 익습니다. 효능한방에서는 열매를 과여실, 종자를 과루인, 뿌리를 과루근이라 하여 거담제, 진해제로 이용하였으며, 당뇨병 치료제로 효능이 뛰어나서 갈증이 심하고 혈당이 높으며 수척한 증상에 긴요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하늘타리는 맛이 쓰고 성질은 차며 폐경, 위경에 작용합니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폐를 튼튼하게 하며 항암작용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며 가래를 삭이는 작용을 합니다. 특히 유방암, 식도암, 폐암, 유선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당뇨병에 ..
2024. 11. 26.
싸리나무 효능, 먹는 방법
싸리나무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콩과의 낙엽활엽수로 학명은 입니다. 개체가 다양하고, 쓰임새가 좋아서 예로부터 채반, 소쿠리, 광주리, 삼태기, 사립문, 빗자루, 지게, 회초리 등 실생활에 다양하게 이용되었습니다. 키는 2~3m 정도로 자라나 지름은 2~3cm로 그다지 굵지 않습니다. 잎은 3개의 타원형 쪽잎이고, 꽃은 9~10월에 연분홍 또는 연보라색으로 피어나며, 가을에 2~3mm 정도의 둥근 씨앗이 달립니다. 라는 문헌에서 싸리는 회초리 같으며 가지가 가늘고 부드러워 바구니나 둥근 광주리를 만들 수 있다. 홍싸리는 광주리, 종다래끼, 바구니, 고리, 삼태기, 소쿠리, 싸리비 같은 것을 만들고, 조록싸리는 단단하고 줄기가 굵고 커서 지팡이를 만들고 지붕을 이었으며 울타리와 문을 엮어서 세우는 데..
2022. 9. 19.
[봄나물] 쑥부쟁이
쑥부쟁이는 국화과의 다년초로 학명은 'Aster yomena'입니다. 이름은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대장장이) 딸'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하며, 꽃말은 '인내'입니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쑥부쟁이는 개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갯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가을에 연분홍 또는 연보라 꽃을 피우는 들에 피는 국화라고 해서 '들국화'로 부릅니다. 들국화는 어떤 식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가을에 들판에서 피는 국화과의 식물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쑥부쟁이 외의 감국, 산국, 개미취, 구절초 등을 모두 들국화라고 부릅니다. 국화과의 식물들은 대부분 식용이 가능하기에 쑥부쟁이 종류들 모두 먹을 수 있습니다. 봄에 나오는 어린 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튀겨 튀김 ..
2022.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