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음식과 건강219

찔레나무 효능, 먹는 방법 찔레꽃의 학명은 'Rosa Multiflora'이며, 영어 이름은 야생장미를 뜻하는 'wild Rose' 입니다. 이름에서 보듯이 장미과의 일종이며, 우리가 흔히 아는 장미꽃은 18세기 말에 찔레꽃을 개량한 것 입니다. 찔레는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자라며, 가지는 1~2m로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는 가시가 있으며,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 색으로 새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피어납니다. 찔레는 석산호, 열매는 영실 또는 색미자라는 약재로 한방에서 사용하며, 민간약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꽃, 열매, 뿌리, 새순 및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 등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효능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된 찔레 열매는 6~9mm로 9월에 붉게 익으며, .. 2021. 7. 8.
인동초 효능, 먹는 방법 인동초는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꽃이 하얗게 피었다가 노랗게 변하기 때문에 얼핏보면 흰색과 노란색이 함께 피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에 '금은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동초는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꽃만을 따로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합니다. 잎과 줄기는 가을에 선선한 그늘에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하며, 식혜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인동초의 줄기나 잎을 깨끗이 씻은 후 끓여서 그 물로 입안을 헹구면 입냄새 제거에 좋은 천연 가그린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제로 복용하실 수 있으며, 감기, 종기, 해열, 이뇨, 간염 등에 효과가 좋습니다. 인동초는 강한 항균작용과 독을 푸는데 사용됩니다. 꽃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고 약간 씁니다. 열을.. 2021. 7. 7.
하수오 효능, 먹는 방법 하수오는 덩굴 식물로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와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로 구분됩니다. 자양강장제로 사용되는데, 그 맛은 쓰면서도 떫은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계속 씹다가 보면 밤맛, 고구마맛, 배추뿌리맛 등의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며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해주며 잔병없이 장수하게 만드는 약초로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는 하수오를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담을 없애며, 치질, 종기, 만성피로에 의한 몸이 마르고,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해준다. 또한 기와 혈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2021. 7. 5.
고사리 효능, 먹는 방법 고사리는 푹 삶은 후 육개장에 넣으면 마치 찢어 넣은 소고기 양지머리와 같은 맛과 식감이 느껴집니다. 말린 토란줄기를 함께 넣어주면 금상첨화의 육개장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고사리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펴져 있는 양치류로 고생대 때 부터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식물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고사리류는 신생대 초부터 나타났습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식용되고 있으며, 익히거나, 날 것으로 소금에 절인 후 말려서 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명절에 나물로 먹거나, 육개장, 비빔밥에 들어가는 필수(?) 식재료입니다. 단순히 먹는 것 외에도 뿌리는 녹말로 만들어 그 전분으로 빵이나 떡을 빚을 수 있고, 잎과 뿌리줄기는 맥주를 만드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기생충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몸의 염증.. 2021. 7. 5.
덕다리버섯 효능, 먹는 방법 덕다리버섯의 종명(種名) 'Sulphureus'은 '유황색 또는 밝은 황색을 가진'이라는 뜻을 가리킵니다. 버섯의 냄새는 유황처럼 썩은 달걀냄새와 비슷하며, 맛은 마치 닭고기 맛과 비슷하다고 하여 영어 이름은 'Chicken of the Woods(숲의 닭고기)'입니다. 육질은 마치 닭고기 가슴살을 찢는 것과 같으며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생목 또는 고목에서 자라며, 버섯대는 거의 퇴화되어 나무에 붙어서 자랍니다. 균모는 황색 또는 밝은 오랜지 황색에서 퇴색하고 미세한 털이 있기도 하며 띠가 형성됩니다. 가장자리도 같은 색이며 얇고 물결형이며 얕게 갈라집니다. 버섯갓은 부채꼴 또는 반원형으로 여러 개 중첩되어 30cm 내외의 버섯덩어리로 되며, 하나하나의 버섯갓은 너비 5~20cm, 두께 1~2c.. 2021. 7. 5.
곰보버섯 효능, 먹는 방법 곰보버섯은 생긴 모양이 징그러워 흔히 독버섯이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러나 특별한 풍미를 가진 아주 우수한 식용버섯으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인기가 좋은 버섯입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식재료뿐 아니라 초코렛, 와인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등 인기가 높아 비싼 가격에 거래되며,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건조 곰보버섯은 kg당 40~50만원이 넘는다고 하네요. 곰보버섯은 4~5월의 봄에 숲 속이나 나뭇가지가 많은 곳에서 자라나며, 균근성 버섯으로 자실체는 지름 3~5cm, 높이 5~14cm 정도의 중형 버섯입니다. 조직은 무르고 망목상의 울퉁불퉁한 갓과 하얀 대를 짜르면 피망과 같이 속이 비어 있습니다. 효능 중국에서는 곰보버섯을 맛이 달고 차며 독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위장강화에 좋아 소화불량에 사용하였.. 2021. 7. 3.
망태버섯 효능, 먹는 방법 망태버섯은 수분을 충분히 흡수했을 때 알이 형성되고 아침에 피었다가 3시간 이내로 시들어 사라지는 특이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잠시 동안만 모습을 드러내고 사라져 버리는 특성 때문에 '찰나의 보약'이라고도 불립니다. 망태버섯은 말뚝버섯과 균류식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에서 서식을 하며, 피어나기 전에는 뱀알과 같은 형태이나 부화를 하면 완전한 망태버섯의 형태로 성장을 합니다. 이때 망태버섯의 모습은 마치 여왕의 드레스를 입은 것과 같다고 하여 '버섯의 여왕'이라고도 불립니다. 썩은 대나무 잎의 영양분을 흡수하여 자라며 버섯갓은 주름 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며, 강한 냄새로 벌레를 유인해 씨를 퍼트려 번식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식용이 가능하고 중국에서는 건조품을 죽손(竹荪)이라 하여 고급 요리의 식재료로.. 2021. 7. 3.
노루궁뎅이버섯 효능, 먹는 방법 노루궁뎅이버섯은 노루의 엉덩이 털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특별한 맛이나 향은 없지만 식감이 좋고, 담백하며 생으로 바로 먹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생목이나 썩은 고목에서 자라는데, 요즘은 자연산 버섯을 찾기가 많이 어렵다고 하네요. 노루궁뎅이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지질과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도 효과적 입니다. 면역력 강화, 혈전개선, 항암효과 등 일반적인 버섯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치매예방, 신경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위 기능 개선 노루궁뎅이버섯에 다량 함유된 '올레아노락산'은 위벽을 보호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위장기능 개선, 위산분비 조절을 돕는 효능이 있으며, 복합아미노산, 다당체,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 2021. 7. 2.
돼지감자의 효능 간혹 엉뚱한 일을 하는 경우 '뚱딴지'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뚱딴지는 돼지감자의 또 다른 이름이며, 돼지감자는 최근에 당뇨병 치료제로 많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돼지감자는 알코올 등 약물의 중독과 신경통의 치료제로 쓰이고 있으며, 진통, 자양강장, 류머티스 치료 등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돼지감자는 특별한 재배기술이 있는 것이 아니며, 배수가 잘 되는 곳이면 어디서나 잘 자라기 때문에 야생에서도 저절로 자라고 있습니다. 효능 돼지감자는 당뇨병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성인병과 콜레스테롤, 고지혈증 예방 및 진통억제와 자양강장, 신경통 치료, 류머티스 치료, 알코올 해독, 약물중독 치료 등에 효능이 있습니다. 먹는 방법 돼지감자는 그냥 생으로 먹어도 되며, 즙을.. 2021. 7. 1.
냉이의 효능 냉이는 봄을 대표하는 나물로 최고입니다. 나른한 봄 기운에 입맛을 잃거나 피로감을 느껴질 때 면역 기능을 돕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봄나물로 냉이는 으뜸일 것입니다. 냉이는 3월 초에서 4월 말에 채취하며 단백질, 비타민A, B1, C,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합니다. 특히 비타민B1, C가 풍부해 춘곤증 예방, 해독, 소화작용 및 눈의 피로를 해소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냉이는 특유의 쌉쌀한 맛과 향이 좋아 미각을 돋우며, 예로부터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냉이는 단백질 8%, 탄수화물 7.4%, 무기질 3%, 지방 0.7%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른 산채류에 비해 단백질의 함량이 높고 칼슘과 철분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재료 입니다. 피로해소 냉이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여 식.. 2021. 7. 1.
엉겅퀴 효능, 먹는 방법 잎에 가시가 많은 엉겅퀴는 뿌리를 캐다가 가시에 찔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들에서 흔희 볼 수 있는 엉겅퀴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며 가시나물, 항가새라고도 합니다. 높이는 50~100cm이며, 전체적으로 털이 있습니다. 줄기잎은 피침상 타원형으로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습니다. 꽃은 6~8월에 피며 자주색에서 적색이며, 열매는 수과입니다. 씨로 번식을 하며 생명력, 번식력, 재생력이 아주 강해 별다른 관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줄기를 잘라내어도 뿌리로 월동을 하는 자생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효능 엉겅퀴는 맛이 쓰고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습니다. 간과 신장, 심장, 폐,.. 2021. 7. 1.
어수리 효능, 먹는 방법 어수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려해살이풀로 임금님이 드신다고 하여 어수리라고 부른다는 말이 있으며, 우리나라 전지역의 산지나 길가의 습한 곳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잎이 크고 꽃이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이른 봄에 어린 잎을 따서 나물로 먹습니다. 7~8월에 걸쳐 하얀색의 꽃이 겹우산 형태로 피어나며 바깥쪽의 꽃잎이 안쪽보다 큽니다. 어수리의 크기는 70~250cm이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속은 비어 있으며, 거친 털이 있습니다. 잎은 긴꼴 겹잎이고, 잎자루 밑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싸고 있습니다. 효과, 복용 동의보감에서는 피를 맑게 해주고, 노화방지, 당뇨, 관절염, 종기치료 등에 쓸 수 있다고 하였으며, 어수리 뿌리 추출물은 만성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 2021. 6. 30.
산마늘(명이나물) 효능, 먹는 방법 산마늘은 맛과 향이 마늘과 같다고 하여 산마늘이라고 하였으며, 울릉도에서는 먹을 것이 없는 춘궁기에 산마늘로 목숨을 연명하였다고 하여 명이나물이라고 부릅니다. 울릉도 해발 800m 이상에서 자생하는 산마늘은 1994년 울릉도에서 반출되어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삼겹살 등 구이류와 함께 섭취하는 수요가 크게 늘면서 경상도, 전라도 등에서도 재배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잎은 1년에 새순이 1개씩만 자라기 때문에 제대로 된 상품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4~5년은 기다려야 합니다. 또한 꽃이 필 경우 미량의 독성이 있어 이른 봄, 꽃이 피기 전에 수확을 하여야 합니다. 복용, 효과 산마늘은 주로 장아찌로 많이 이용하며, 쌈, 튀김, 초무침, 샐러드 등 다양하게 요리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 2021. 6. 30.
모싯대 효능, 먹는 방법 산지의 다소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모시대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곧은 줄기와 높이는 40~100cm이며,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으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의 하트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8~9월에 피며 자주빛의 반면 종처럼 생긴 꽃이 원추꽃차례로 밑을 향해 피어납니다. 화관의 길이는 2~3c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들어 있고, 열매는 삭과(터지거나 갈라지는 열매)로 10월에 익습니다. 모시대는 옛날부터 참나물이라고 부를 정도로 좋은 나물거리인데 주로 어린 싹을 잘라 날것으로 먹거나 살짝 데쳐서 무쳐 먹습니다. 주로 연한 잎과 뿌리를 식용으로 먹으며, 특히 뿌리는 해독 및 거담제로 사용되며, 줄기에서 나오는 흰 유즙은 맛.. 2021. 6. 30.
고구마의 효능 고구마는 맛도 좋고 몸에도 좋은 뿌리 채소입니다. 가격도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친숙한 식재료이며, 보통 5월 중순에 심고, 초가을에 수확을 합니다. 고구마는 구황작물이라고 합니다. 흉년으로 먹을 것이 없을 때 주식을 대신하여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줬던 고마운 작물이며, 지금은 간식꺼리를 넘어 건강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고구마에는 지방, 식이섬유, 칼륨, 인, 철 등 다양한 단백질과 탄수화물,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미국 농무부 자료에 의하면 고구마 100g에 들어 있는 열량은 86Kcal이고, 1.57g의 단백질, 20.12g의 탄수화물, 3g의 섬유질, 4.18g의 당분, 0.05g의 지방이 들어 있다고 하네요. 이 밖의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등이 풍부합니다. 고구마 .. 2021. 6.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