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채 효능, 먹는 방법
삼채는 매운맛, 단맛, 쓴맛이 난다고 해서 삼채라고도 하며, 잎은 부추처럼 생겼고, 뿌리는 인삼처럼 생겼습니다. 삼채는 히말라야 1,400~4,200m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알려졌습니다. 미얀마 등의 지역에서는 3천년 전부터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국민채소로 현재까지 음식을 할 때 빠지지 않는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보조식품으로 쓰이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고급레스토랑에서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인의 밥상', '천기누설'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신의 약초'로 소개가 되기도 했습니다. 삼채의 주요성분으로 유황은 마늘의 6배가 넘고, 사포닌이 산삼의 60배가 함유되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36,000배에 달하기도 합니다. 그밖의 비..
2021. 7. 23.
삼지구엽초 효능, 먹는 방법
삼지구엽초는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숫양이 이 풀을 먹고 정욕이 솟는 것을 보고 '음양곽(淫羊藿)'이라고도 하며, 칠순 노인이 이 풀을 먹고 가지고 다니던 지팡이를 던지게 만들었다고 해서 '방장초(放杖草)'라고도 합니다. 전세계 2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는 단 한 종류만 자라고 있습니다. 국내 경기도 천마산, 강원도 철원 지역, 전라도 지리산, 완도 지역 등에만 분포를 하고 있으며, 태백산, 오대산, 설악산 등에서 나는 것은 삼지구엽초가 아닌 '꿩의 다리'라는 독성이 있는 풀이 알려지고 있다.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가 30cm 이상이며,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비늘모양의 잎으로 둘러쌓여 있습니다. 잎자루가 길고 줄기 윗부분에서 3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한 가지마다 3장의 잎이 달려 '삼..
2021. 7. 22.
신선초 효능, 먹는 방법
신선초는 신선이 되는 풀이라는 뜻으로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며 향과 식감이 좋은 식재료입니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오늘 자르면 내일 잎이 나온다는 뜻으로 '명일엽'이라고 부르며, 다른 이름은 '선립초', '선삼초'가 있습니다. 신선초는 항암에 좋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매우 풍부하고, 노화 세포에 새로운 에너지를 제공해주는 게르마늄이 풍부한 신비의 약초입니다. 중국의 진시황이 찾으려 했다는 불로초의 하나이며, 세계 최초로 재배했다는 일본의 하치조지마섬은 세계적인 장수촌으로 유명합니다. 예로부터 신경통, 고혈압, 간장병 등 민간요법으로 많이 활용이 되었으며, 요즘에는 풍부한 비타민과 무기질, 각종 다양한 영양가 있는 식재료로 쌈채소, 나물은 물론 녹즙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높이는 약 1m이고, 줄기 윗부..
2021. 7. 22.
더덕 효능, 먹는 방법
더덕은 쌍떡잎식물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입니다. 사삼, 백삼이라고도 불리며 본래 숲속에서 자라지만, 현재는 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갈랐을 때 결대로 찢어지는 특성이 있으며, 사포닌이 풍부하여 쌉싸름한 맛이 나며 고유의 향이 매우 강합니다. '산에서 나는 고기'로 불리며 자연산 산더덕은 산삼에 버금가는 약효가 있다고 하여 '사삼'이라고도 불렸습니다. 더덕은 예로부터 약으로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다양한 음식에 사용하는 식재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더덕에는 사포닌, 철분, 칼륨, 칼슘, 인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여 혈관질환과 암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가슴 통증을 동반한 기침이나 가래, 천식, 고혈압, 항콜레스테롤, 염증 치료와 피부 해독, 자양강장 ..
2021. 7. 21.
전호 효능, 먹는 방법
전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숲이나 약간 습기가 있는 청정지역에서 성장합니다. 울릉도에서는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이른 봄 눈 속에서 파릇하게 여린 순이 올라와 봄을 알리는 봄의 전령사라고도 합니다. 꽃은 5~6월에 희게 피고, 7~8월에 열매를 맺습니다. 전호의 뿌리는 약재로 사용되며 한약명도 전호라고 합니다. 약성은 약간 차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맵습니다. 약효 성분은 후로쿠마린류인 노다케닌과 스폰게스테론, 마니톨, 정유 등이 있습니다. 전호는 폐에 작용하여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특히 감기 초기에 발열증상을 띠면서 해소, 천식을 일으킬 때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기침가래약, 해열제, 진통제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칼슘과 칼륨,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를 맑..
2021. 7. 20.
명아주 효능, 먹는 방법
명아주는 한해살이풀로 는장이, 는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5월에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전초를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며, 한약명은은 려(藜)라고 합니다. 명아주의 키는 1~2m 정도이며, 어린 잎에는 하얀색의 가루가 덮여 있습니다. 어린 잎을 데쳐서 먹으면 시금치와 비슷한 맛이 나며, 맛이 순하여 초고추장에 무치면 좋은데,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붓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몇가지의 나물과 함께 섞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효능 명아주 전초는 해열, 이뇨, 소종, 해독, 백전풍, 중풍 예방과 치통, 독충, 진통, 위통, 치질, 폐결핵 등의 약재로 사용됩니다. 약으로 쓸 때에는 탕으로 이용하며, 주로 피부과 질환을 다스리고 사용됩니다. 명아주..
2021. 7. 20.
한련초 효능, 먹는 방법
한련초(旱蓮草)는 잎이나 줄기, 열매에 즙이 있으며, 잘라 보면 맑은 물이 나오듯 하다가 바로 검게 변하게 됩니다. 요즘은 오징어 먹물로 흰머리카락을 염색하는 염색약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데, 옛날에는 한련초의 검은색 즙을 염색제로 사용하였다고 하네요. 한련초는 염색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을 보호해주는 작용을 하며, 탈모 증상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염색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방약합편에서는 "한련초는 피나는 것을 멈추고 설사, 지질을 낫게하고 머리카락을 검개하고 머리카락과 수염도 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련초의 다른 이름은 묵한련(墨旱蓮), 묵두초(墨頭草), 묵초(墨草), 묵채(墨菜)로 모두 검은색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련초의 즙이 천에 닿으면 처음에는 아무 색깔이 없다가 차츰 검게 변하며, 검..
2021. 7. 20.
참나리 효능, 먹는 방법
참나리는 백합과의 다년초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의 산야에 분포하며 크기는 1~2m로 자라며, 어릴 때는 흰 털로 덮이고 지름 5~8cm의 비늘줄기는 둥글고 줄기 밑에서 뿌리가 돋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너비 5~15mm이며, 겨드랑이에 짙은 갈색 구슬모양의 주아(珠芽)가 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열매를 맺지 못하고 주아가 땅에 떨어져 발아하여 번식을 합니다. 꽃은 7~8월에 피며, 주황색 바탕에 흑자색 점이 많이 있으며, 4~20개 정도가 밑을 향하여 달립니다. 화피 조작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뒤로 심하게 말립니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약재로 사용하며, 진해, 강장 효과와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고, 진정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도움을 줍니다. 참나리는 관상용으로 즐겨 심기도 하며..
2021. 7. 19.
지황 효능, 먹는 방법
지황은 조선 왕실의 보약인 경옥고를 비롯하여 각종 보약 처방에 빠지지 않는 작물로 산본초경에서는 땅의 기운을 오롯이 품고 있다는 의미로 지수(地髓, 땅의 정수)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지황은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30cm,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뿌리는 굵고, 줄기는 옆으로 곧게 서 있습니다. 근생엽(根生葉)은 총생(叢生)이고, 경생엽은 호생으로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6~7월에 개화하며, 연한 홍자색입니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그냥 쓰는 것은 생지황, 말려서 쓰는 것은 건지황, 술을 넣고 쪄서 만든 것은 숙지황이라고 합니다. 약효성분은 카탈폴(Catalpol), 만니트(Mannit)를 함유하며,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Mannitol), 스타키오스(S..
2021. 7. 19.
왕고들빼기 효능, 먹는 방법
왕고들빼기는 쇠똥나물, 용성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일년생 초본으로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0~30cm, 폭은 1~5cm로 타원형이며 끝이 뽀족합니다. 뿌리는 두갈래로 도톰하며 짧고, 잔털이 많으며, 산삼에 버금가는 사포닌과 이눌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남성들 정력에 좋고, 당뇨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생으로 먹으면 쌉싸름한 맛이 인삼과 같습니다. 어린 잎은 쌈으로 먹기도 하며, 나물로 무쳐서 먹으며, 전초는 약으로 사용됩니다. 효능 잎, 줄기에서 나오는 흰즙은 쌈싸름하며 식욕을 돋구는 작용을 합니다. 기력, 체력, 정력 증진에 좋으며, 폐와 간, 취젱에 도움을 줍니다. 혈관질환, 수면효과도 좋으며, 진정제 효과에도 탁월합니다. 무기력증, 만성피로에..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