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불버섯 효능, 먹는 방법
말불버섯은 말불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서양의 배(Pear)처럼 생겼다고 하여 로, 흔히 먼지버섯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우리나라 전 지역의 산, 길가, 공원 같은 곳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몸 전체가 공 모양으로 포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버섯이며, 크기는 높이 3~7cm, 지름 2~5cm로 어렸을 때는 백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돌기로 뒤덮였으나, 성장하면서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습니다. 속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폰지 형태로 벽면에 포자가 형성되어 있으나, 성장하면서 살은 황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포자가 먼지와 같이 흩어집니다. 영어속명은 이라고 하는데, 한국에..
2021. 8. 29.
노란대망그물버섯
노란대망그물버섯은 그물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로, ‘밤색갓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의 땅에서 군집하여 자라거나 단독으로 자라납니다. 식용버섯이며, 살은 노란색으로 두껍고 단단하며 쓴맛이 있어 살짝 데쳤다가 찬물에 적당히 우려서 먹으면 나름 괜찮습니다. 버섯 갓은 지름 4~8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집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담황 갈색, 갈색, 암황 갈색으로 벨벳 모양이며, 조직은 황색입니다. 자루는 굵기 1~3cm, 길이 5~11cm 정도이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단단합니다. 표면은 황색으로 융기된 망목상 무늬가 있으며, 약간의 노란색 분말이 붙어 있는 듯하며, 기부에는 백색의 균사가 있고 속이 차 있습니다. 이 버섯의 특징은 버섯대가 ..
2021. 8. 27.
황소비단그물버섯(솔버섯) 효능, 먹는 방법
솔버섯은 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은 이며, 다른 이름은 '황소비단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장마철이 끝나는 여름이나 가을 침엽수림에서 자라며, 능선 부근에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송이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군집 또는 단독으로 발생하며, 습기가 많거나 비가 내린 후 갓의 표면은 미끈거리며, 끈적끈적한 촉감이 있으며, 밑면은 그물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갓의 색깔은 황색 바탕의 암적갈색이며, 크기는 5~15cm로 때로는 20cm가 넘는 것도 있습니다. 버섯대는 6~20cm 정도로 상하 굵기가 동일합니다. 식용버섯이나 지역에 따라서 중독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며,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삶아서 염장을 하였다가 먹으면 좋습니다. 효능 솔버섯은 식이섬유,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며 철분, 인, 칼슘, 칼륨, 아연, 나이아..
2021. 8. 26.
우엉 효능, 먹는 방법
우엉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이며, 한약명은 소가 뜯어 먹는 튼튼한 풀이라는 뜻에서 우방(牛蒡)이라고 하며, 우엉의 뿌리는 우방근(牛蒡根)이라고 합니다. 우엉은 크기는 2~3m로 자라며, 잎은 30cm로 상당히 크며, 곧은 뿌리는 30~60cm로 굵게 자랍니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주색이 섞여 있으며, 색을 따라 홈이 깊게 파여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시작되는 자리에서 가지가 나옵니다. 잎의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가 있으며, 작은 가시도 있습니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으로 피어나며, 열매는 9월에 가시달린 공 모양으로 열립니다. 3~5월의 어린잎은 살짝 데쳐서 쌈으로 먹거나 나물로 무쳐 먹으면, 맛도 좋고, 담백합니다. 우엉은 뿌리를 식용하기 위해서 재배하는데, 뿌리는 칼에 ..
2021. 8. 24.
능소화 효능, 먹는 방법
능소화는 능소화과의 덩굴성 목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덩굴이 나무에 달라붙어 하늘을 향해 높게 오르는 특성에서 능(陵, 능가할 능), 소(霄, 하늘 소)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능소화는 독성이 있고, 특히 꽃가루가 눈에 들어가면 실명을 한다는 속설이 있어서 키우는 것을 꺼려했던 나무이나, 산림청의 능소화 유해성 연구를 통해 독성이 없고, 섭취를 해도 안전한 약초로 밝혀졌습니다. 능소화는 독성이 없으며, 꽃, 잎과 줄기, 뿌리 전초를 한약재로 사용하며, 생즙으로 마시는 익모초나 간에 좋은 헛개나무와 비슷한 약초로 나타났습니다. 능소화는 담쟁이덩굴처럼 줄기의 마디에 생기는 흡착뿌리로 건물의 벽이나 다른 물체에 지지하며 자랍니다. 꽃은 가지 끝에서 주황색으로 피어나며, 7월부터 9월까지 ..
2021. 8. 20.
음나무 효능, 먹는 방법
음나무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의 목본식물로 학명은 이며, 다른 이름은 엄나무라고 합니다. 사포닌 성분은 물론, 갈락토스, 글루코스, 리그난, 쿠마린,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음나무는 지역에 따라 개두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두릅나무에 비하여 쓴 맛이 강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실제로 두릅나무보다 더 좋다고 알려지면서 음나무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재배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집니다. 가지에 날카롭고 억센 가시가 많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5~9개로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7월에 어린 가지 끝에서 연노랑색 꽃이 피며, 10월에 열리는 열매는 둥근 핵과로 1~2개의 씨를 담고 ..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