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풀 효능, 먹는 방법
차풀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이며, 옛날부터 차를 대신하여 마셨다고 해서 차풀이라는 불리게 되었습니다. 차풀은 시골의 길가나 메마른 땅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아주 흔한 식물로 차를 끓여 마시면 좋은 향과 단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유사한 식물로 같은 콩과의 자귀풀이 있으며, 자귀풀은 녹색 줄기에 속이 비어 있으며, 주로 습지에서 자생을 하나, 차풀은 메마른 모래나 자갈땅에서도 잘 자라고, 줄기는 단단하게 채워있으며, 줄기는 붉은 색을 띕니다. 봄철의 어린잎과 순은 나물로 먹거나, 데쳐서 무침이나 튀김, 국거리 등으로 식용할 수 있습니다. 차풀이 다 자라면 60cm 정도이며, 꽃은 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으로 한 두 송이씩 피어납니다. 차풀의 한약명은 산편두라고 하며, 주 약재는 지상부이..
2021. 8. 18.
달맞이꽃 효능, 먹는 방법
달맞이꽃은 바늘꽃과의 두해살이풀로 남미(칠레)가 원산지이며, 학명은 로 귀화식물입니다. 아침에 꽃이 피고, 저녁이면 시들기 때문에 달맞이꽃이라고 하며,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주로 둑길이나 하천, 제방 같은 곳에서 자생합니다. 봄철의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를 생으로 식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꽃, 종자를 모두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식물입니다. 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뿌리를 캐서 약재로 사용하거나, 발효액을 만들어 먹습니다. 꽃이 피는 시기의 뿌리는 목질화가 되어 딱딱하며, 약성이 모두 위쪽으로 올라와 있기 때문이며 약효가 거의 없습니다. 효능 달맞이꽃은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성은 없습니다. 한약명은 월견초 또는 대소초라고 하며, 씨앗은 월견자라고 합니다..
2021. 8. 17.
자귀풀 효능, 먹는 방법
자귀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잎이 자귀나무 잎을 닮았고, 낮에는 펼쳐져 있으나, 밤에는 붙어서 잠을 잔다고 하여 '자귀풀'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차풀과는 생긴 모습이 비슷하지만 차풀은 잎의 끝부분이 뾰족하고 줄기의 속이 꽉 차 있으나, 자귀풀은 잎의 끝이 둥근 편이며 줄기를 잘랐을 때 속이 텅 비어 있습니다. 서식장소는 전국의 강이나 풀숲, 다소 습한 장조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맛은 달고 담담하며, 성질은 차거나 평한 편입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합맹(合萌), 수조각, 합명초(合明草), 수용각, 해류(海柳), 목패, 목배두, 독목근, 야관문, 화겸초, 야란 등으로 다양하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합맹근', 줄기의 목질부를 '경통초', 잎을 '합맹엽'이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줄기는 곧게..
2021. 8. 14.
더위지기(인진쑥) 효능, 먹는 방법
더위지기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라고 하며, 부덕쑥, 애기바위쑥, 사철쑥, 생당쑥, 댕강쑥, 인진(茵蔯)쑥이라고도 합니다. 높이는 1m 정도이며, 관목류처럼 더부룩하게 자라며 줄기 밑둥은 나무처럼 굳어집니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아래쪽 잎은 깃털꼴로 갈라집니다. 갓 피어난 잎 양면에는 거미줄과 같은 털이 생기며, 표면에는 오목한 점이 있습니다. 줄기의 가지 끝에서 작은 꽃이 뭉쳐서 피어나며, 꽃의 생김새는 종꼴로 꽃잎을 가지지 않습니다. 꽃은 황갈색이며 크기는 4mm 정도이며 8월에 핍니다. 효능 인진쑥은 황달에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하는데..
2021. 8. 12.
사데풀 효능, 먹는 방법
사데풀은 국화과의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학명은 입니다. 해안가에서 잡초처럼 자랐다고 하는데, 요즘은 도심의 근린공원에서도 볼 수 있는 초본 식물입니다.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30~100cm이며, 줄기와 잎은 모두 털이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으며, 길이 12~18cm, 너비 1~3cm로 긴 타원형입니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회색빛을 띤 파란색입니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두화 3~5개씩 산형꽃차례로 달립니다. 열매는 갈색의 수과로 9~10월에 익습니다. 사데풀은 거매채(苣蕒菜), 야고채(野苦菜), 고매채(苦蕒菜), 고마자(苦麻子), 삼비물, 석쿠리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효능 구전되는 민간요법에서 사데풀은 해열, 해독 작용과 ..
2021. 8. 12.
생강나무 효능, 먹는 방법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의 목본 식물로 학명은 입니다. 생강나무의 잎 또는 가지를 꺾으면 생강 냄새가 나서 생강나무라고 부르며, 산동백나무라고도 부릅니다. 높이는 2~3m로 자라며, 이른 봄에 산 속에서 가장 먼저 노란 꽃을 피우기 때문에 봄을 알리는 나무입니다. 나무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습니다. 꽃은 3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꽃자루가 짧아 가지에 촘촘히 붙어 있으며, 꽃이 필 때 짙은 향기가 납니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5~15cm, 너비는 4~13cm로 큰 편이며, 끝이 크게 3개로 갈라지기도 합니다. 한방에서는 어린 가지를 말린 것을 황매목(黃梅木)이라 하며, 가지와 줄기, 껍질을 채취하여 햇볏에 말렸다가 약재로 사용합니다. 위장 관련 질환, 오한, 감기, 산후풍에..
2021. 8. 10.
까치수염 효능, 먹는 방법
까치수염은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꽃 모양이 까치의 하얀색을 닮았다고 해서 까치수염 또는 꽃꼬리풀로 부르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꽃이 이뻐서 관상용으로 키우기도 하며, 한방에서는 뿌리가 달린 전초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높이는 50~100cm로 자라며, 원기둥 모양의 줄기는 끝부분이 붉은 빛이 돌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거나 없습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점차 좁아져서 밑부분이 잎자루처럼 되지만 잎자루는 없습니다. 꽃은 하얀색으로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10~20cm 길이의 옆으로 굽은 꽃차례가 달립니다. 열매는 9~10월에 붉은 갈색으로 익습니다. 습한 곳을 좋아하며, 땅 속 줄기는 성장이 빠르며, 번식은 봄, 가을에 포기 나누..
2021. 8. 10.
짚신나물 효능, 먹는 방법
짚신나물은 장미과 짚신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Agrimonia pilosa Ledeb'이며, 전세계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씨앗에 달린 갈고리모양의 털이 짚신에 잘 들러붙는다 해서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잎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와 주름진 잎이 짚신을 닮았다고 해서 유래가 되었다고도 합니다. 짚신나물의 다른 이름은 선학초(仙鶴草)이며, 화수의 맨 윗부분이 마치 학(두루미, 仙鶴)의 모가지 같아서 부르게 된 이름이라고 합니다. 짚신나물의 키는 60~120cm로 자라며 6~8월에 총상꽃차례로 노란 꽃이 피며, 성숙한 열매는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습니다. 선학초는 성질이 평하고, 맛은 매우면서 떫습니다. 비타민C, K, 단백질, 철분, 유기산 등 다양한 영양분이 함유되어 ..
2021. 8. 7.
쑥부쟁이 효능, 먹는 방법
쑥부쟁이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Aster yomena' 입니다.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뿌리줄기로 번식을 하며 높이 50cm로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굵은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7~10월에 피며, 10~11월에 결실을 맺고, 설상화는 자줏빛이지만 통상화는 황색입니다.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며 지름은 2.5cm 입니다. 효능 쑥부쟁이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기침과 천식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감기 예방 및 증상 완화에 좋으며, 해열, 진해, 거담, 소염, 해독 효능이 있어 기관지염, 편도선염의 치료제로 도움을 줍니다. 한방에서는 해열제와 이뇨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화를 잘 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기침과 천식에 좋습니다. 해독 및 항균작용..
2021. 8. 7.
다래나무 효능, 먹는 방법
다래나무는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줄기는 갈색이며 암수가 따로 자랍니다. 맛이 달다는 말에서 유래가 되어 다래는 단맛이 납니다. 다래순은 목자, 등리, 미후리라고도 하며, 머루와 함께 대표적인 야생과일의 하나입니다. 키위는 양다래로 다래의 한 종류입니다. 전세계에 25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다래, 개다래, 쥐다래, 섬다래 4종류가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광타원형이고, 잎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초록빛입니다. 모양은 둥글고, 끝은 급히 뽀쪽하며,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뒷면의 맥 위에는 연한 갈색을 띠는 연모가 있습니다. 꽃은 옅은 노란색으로 6~7월에 피며, 잎과 가지 사이에 달리며 담갈색의 털이 있습니다. 열매는 8~10월에 성숙하며 달걀 모양으로 생겼으며, 진..
2021. 8. 6.
박쥐나무 효능, 먹는 방법
박쥐나무는 박쥐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산지의 물빠짐이 좋고,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생을 하고 있습니다. 잎 모양이 박쥐를 닮았다고 해서 박쥐나무라고 부르며, 잎과 꽃이 특이해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하며, 열매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높이는 3~4m에 이르고 잎의 길이는 7~20cm이며, 잎 모양은 원형 또는 둥근형이며 가장자리가 3갈래로 갈라지는데 톱니는 없고, 박쥐가 날개를 펼쳤을 때의 모양과 비슷합니다. 5~7월에 긴 말총모양의 2.5cm 정도되는 황록색 꽃이 밑으로 쳐지면서 피어납니다. 효능 박쥐나무의 뿌리에는 알칼로이드,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수지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알칼로이드 성분은 근육의 이완 및 진통작용에 효과가 있습니다. 박쥐나무는 어혈을 없애고, 경락을 ..
2021.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