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377

갈퀴나물 효능, 먹는 방법 갈퀴나물은 쌍떡잎식물로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땅을 비옥하게 만들며 풍성하게 줄기를 뻗으며 자라기에 시골에서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고 자잘한 꽃을 빽빽하게 매달기에 꿀을 모으는 밀원식물로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자생하며, 햇빛이 잘 드는 양지의 경사진 비탈이나 논두렁 같은 곳에서 무성하게 잘 자랍니다. 등갈퀴나물, 큰갈퀴의 경엽(逕葉)은 한약명으로 '산야완두(山野豌豆)'이며, 다른 이름은 '녹두두미'라고 부릅니다. 성질은 따뜻하며 달고 씁니다. 줄기는 약 1~2m이고, 꽃은 7~9월에 붉은 자색이며, 총상으로 많은 꽃이 달립니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협과는 납작하고 털이 없는 검은 씨앗이 2~4개 들어 있고, 8~9월에 익습니다. 땅속의 줄기가 뻗어서 번식을 하기도 .. 2021. 7. 20.
전호 효능, 먹는 방법 전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숲이나 약간 습기가 있는 청정지역에서 성장합니다. 울릉도에서는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이른 봄 눈 속에서 파릇하게 여린 순이 올라와 봄을 알리는 봄의 전령사라고도 합니다. 꽃은 5~6월에 희게 피고, 7~8월에 열매를 맺습니다. 전호의 뿌리는 약재로 사용되며 한약명도 전호라고 합니다. 약성은 약간 차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맵습니다. 약효 성분은 후로쿠마린류인 노다케닌과 스폰게스테론, 마니톨, 정유 등이 있습니다. 전호는 폐에 작용하여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특히 감기 초기에 발열증상을 띠면서 해소, 천식을 일으킬 때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기침가래약, 해열제, 진통제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칼슘과 칼륨,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를 맑.. 2021. 7. 20.
명아주 효능, 먹는 방법 명아주는 한해살이풀로 는장이, 는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5월에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전초를 약재로 사용하기도 하며, 한약명은은 려(藜)라고 합니다. 명아주의 키는 1~2m 정도이며, 어린 잎에는 하얀색의 가루가 덮여 있습니다. 어린 잎을 데쳐서 먹으면 시금치와 비슷한 맛이 나며, 맛이 순하여 초고추장에 무치면 좋은데,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붓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른 몇가지의 나물과 함께 섞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효능 명아주 전초는 해열, 이뇨, 소종, 해독, 백전풍, 중풍 예방과 치통, 독충, 진통, 위통, 치질, 폐결핵 등의 약재로 사용됩니다. 약으로 쓸 때에는 탕으로 이용하며, 주로 피부과 질환을 다스리고 사용됩니다. 명아주.. 2021. 7. 20.
한련초 효능, 먹는 방법 한련초(旱蓮草)는 잎이나 줄기, 열매에 즙이 있으며, 잘라 보면 맑은 물이 나오듯 하다가 바로 검게 변하게 됩니다. 요즘은 오징어 먹물로 흰머리카락을 염색하는 염색약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데, 옛날에는 한련초의 검은색 즙을 염색제로 사용하였다고 하네요. 한련초는 염색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을 보호해주는 작용을 하며, 탈모 증상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염색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방약합편에서는 "한련초는 피나는 것을 멈추고 설사, 지질을 낫게하고 머리카락을 검개하고 머리카락과 수염도 나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련초의 다른 이름은 묵한련(墨旱蓮), 묵두초(墨頭草), 묵초(墨草), 묵채(墨菜)로 모두 검은색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련초의 즙이 천에 닿으면 처음에는 아무 색깔이 없다가 차츰 검게 변하며, 검.. 2021. 7. 20.
참나리 효능, 먹는 방법 참나리는 백합과의 다년초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의 산야에 분포하며 크기는 1~2m로 자라며, 어릴 때는 흰 털로 덮이고 지름 5~8cm의 비늘줄기는 둥글고 줄기 밑에서 뿌리가 돋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너비 5~15mm이며, 겨드랑이에 짙은 갈색 구슬모양의 주아(珠芽)가 달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열매를 맺지 못하고 주아가 땅에 떨어져 발아하여 번식을 합니다. 꽃은 7~8월에 피며, 주황색 바탕에 흑자색 점이 많이 있으며, 4~20개 정도가 밑을 향하여 달립니다. 화피 조작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뒤로 심하게 말립니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약재로 사용하며, 진해, 강장 효과와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고, 진정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도움을 줍니다. 참나리는 관상용으로 즐겨 심기도 하며.. 2021. 7. 19.
지황 효능, 먹는 방법 지황은 조선 왕실의 보약인 경옥고를 비롯하여 각종 보약 처방에 빠지지 않는 작물로 산본초경에서는 땅의 기운을 오롯이 품고 있다는 의미로 지수(地髓, 땅의 정수)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지황은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30cm,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뿌리는 굵고, 줄기는 옆으로 곧게 서 있습니다. 근생엽(根生葉)은 총생(叢生)이고, 경생엽은 호생으로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6~7월에 개화하며, 연한 홍자색입니다.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그냥 쓰는 것은 생지황, 말려서 쓰는 것은 건지황, 술을 넣고 쪄서 만든 것은 숙지황이라고 합니다. 약효성분은 카탈폴(Catalpol), 만니트(Mannit)를 함유하며,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Mannitol), 스타키오스(S.. 2021. 7. 19.
왕고들빼기 효능, 먹는 방법 왕고들빼기는 쇠똥나물, 용성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일년생 초본으로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랍니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는 10~30cm, 폭은 1~5cm로 타원형이며 끝이 뽀족합니다. 뿌리는 두갈래로 도톰하며 짧고, 잔털이 많으며, 산삼에 버금가는 사포닌과 이눌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남성들 정력에 좋고, 당뇨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생으로 먹으면 쌉싸름한 맛이 인삼과 같습니다. 어린 잎은 쌈으로 먹기도 하며, 나물로 무쳐서 먹으며, 전초는 약으로 사용됩니다. 효능 잎, 줄기에서 나오는 흰즙은 쌈싸름하며 식욕을 돋구는 작용을 합니다. 기력, 체력, 정력 증진에 좋으며, 폐와 간, 취젱에 도움을 줍니다. 혈관질환, 수면효과도 좋으며, 진정제 효과에도 탁월합니다. 무기력증, 만성피로에.. 2021. 7. 14.
닭의장풀 효능, 먹는 방법 닭의장풀은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파란색으로 피는 꽃의 모양이 닭의 벼슬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지역에 따라 ‘달개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닭의장풀은 잎과 줄기가 두텁고 수분이 많으며, 뽑아서 던져놔도 죽지 않고 주변을 덮을 만큼이나 순식간에 자라나는 쇠비름만큼이나 강인한 식물로 농사에 큰 방해가 되는 잡초로 여겨 왔으나, 독성이 없어 연한 잎과 순을 생으로 먹을 수도 있습니다. 깨끗이 씻어 샐러드로 식용할 수 있으며, 데쳐서 초고추장무침이나 된장무침을 하면 아삭한 식감이 좋습니다. 효능 닭의장풀의 한약명은 지상부 전체를 ‘압척초’라는 약재로 사용하며, 잎이 대나무를 닮았다고 해서 ‘죽엽채’라고도 합니다. 한약명에 ‘채’가 붙으면 나물로 식용을 한다는 뜻입니다. 항.. 2021. 7. 13.
가막사리 효능, 먹는 방법 가막사리는 물가나 논둑에서 자라나는 한해살이풀이며, 흔히 사용하는 이름은 도깨비풀로 알려졌습니다. 높이는 20~15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은 없습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중앙부의 것은 긴 타원상 피침형입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3~5개로 갈라집니다. 꽃은 8~10월에 피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 모양 꽃이 1개씩 자라며, 설상화는 없고 4mm 정도의 관상화는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총포조각은 5~10개 입니다. 열매의 길이는 7~11mm이며, 나비 2~2.5mm로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역자가 있고, 관모는 완전한 것 2개와 불완전한 것 1~2개가 있으며, 3~4mm로 역자가 있습니다. 가막사리의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이하며 기관지에 무척 좋습니다... 2021. 7. 13.
옻나무 효능, 먹는 방법 옻나무는 우수한 살균제이며 방부제로 예로부터 전통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해독작용이 뛰어나 체내의 나쁜 병균을 죽이는데 탁월하고 다양한 질병을 다스리는 치유제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옻나무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에 속하며, 껍질에 상처를 내어 채취한 수액인 옻은 공업용이나 약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옻은 맛이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몸이 약해질 때 체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약재이며, 노루나 염소 같은 동물들도 옻순을 잘 먹는다고 합니다. 옻나무에는 알레르기성 물질인 우루시올(Urushiol)이 들어 있어, 수액이 묻거나 증기를 쐬는 경우에 가려움증과 심각한 발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2021. 7. 12.
우슬 효능, 먹는 방법 우슬이라는 이름은 부르기 쉽고, 친근감이 있는 것이 제가 '참이슬'을 좋아해서 그럴까요? ^^. 우슬은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의 마디마디가 소의 무릎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한자로는 소(牛)의 무릎(膝)을 뜻합니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볼 수 있는 봄에는 어린 순을 뜯어 나물로 이용했으며, 겨울에는 땅 속의 뿌리를 캐서 약재로 사용하였습니다. 본초강목에서는 허리와 무릎에 힘을 실어주고, 골격을 튼튼하게 하는데 좋으며,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평이하다고 합니다. 남자의 양기를 보충하며, 노인의 잔뇨를 다스리고, 내장을 보하며, 음기를 이롭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간장의 풍허를 다스린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허리와 관절 아픈 곳에 쓰며, 남자의 음위증.. 2021. 7. 12.
쇠비름 효능, 먹는 방법 쇠비름은 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번식력이 강한(?) 식물인데, 몸에 좋다고 방송에 나오면 그 이후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식물이 되어 버립니다. 지역에 따라 아직도 많이 자라는 곳도 있지만, 서울 근교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식물이 되었습니다. 쇠비름은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식물로 서양에서는 샐러드에 쓰이기도 하며, 한국에서는 연한 부분을 끓는 물에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습니다. 효능 쇠비름은 먹으면 오래 산다고 하여 장명채(長命菜)라고 불리며, 한방에서는 마치현(馬齒莧)이라고 하여 임질이나 종창에 사용합니다. 또한 도파민(Dopamine)이라는 해독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벌레와 뱀의 해독제로 사용되며, 이뇨제로도 사용합니다. 쇠비름은 다양한 비타민과 카로틴, 타닌, 사포닌, 베타카로틴, 오메가3 지방산 등.. 2021. 7. 12.
비단풀 효능, 먹는 방법 비단풀은 쌍떡잎 식물로 대극과의 한해살이풀로 봄부터 여름까지 무성하게 자라며, 척박한 땅에 붙어 자라는 땅빈대와 키가 약 1m까지 곧게 자라는 왕비단풀이 있으며, 왕비단풀을 재배가 가능합니다. 언뜻 보면 쇠비름을 닮았으나, 쇠비름보다 훨씬 작고, 줄기는 땅바닥을 기면서 자라고, 줄기나 잎에 상처를 내면 흰 즙이 제법 많이 나옵니다. 밑동에서부터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땅을 덮으며, 줄기에는 약간의 털이 있습니다. 가지는 보통 두 개씩 갈라지고 붉은 색이며, 잎의 길이는 5~10mm의 긴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고 수평으로 펴져서 두 줄로 배열됩니다. 잎의 윗면은 진한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녹백색이며 잎자루는 몹시 짧습니다. 비단풀 생즙을 칼에 베이거나 긁힌 상처에 바르면 상처가 .. 2021. 7. 12.
미나리 효능, 먹는 방법 매운탕하면 미나리가 생각이 날 정도로 매운탕에는 미나리가 빠지지 않습니다. 미나리는 아삭한 식감과 향이 좋아 생으로도 무쳐 먹기도 하며, 찌개 등에 넣고 먹기도 합니다. 미나리는 한국이 원산으로 들이나 습지, 물가 근처에서 흔하게 자라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한방에서는 수근(水芹), 수영(水英)이라고 하며, 약용으로 사용하는 채소입니다. 달면서도 맵고, 서늘한 성질을 지녔으며,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질이 풍부하며 해독과 혈액을 정화시키는데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 때문에 예로부터 복어탕 등을 끓일 때 미나리를 함께 넣습니다. 또한, 미나리에는 칼륨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의 중금속과 나트륨 등이 해로운 성분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장 운동을 촉진시키며, 변비 치.. 2021. 7. 11.
청가시덩굴 효능, 먹는 방법 청가시덩굴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숲속이나 계곡,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어린 순과 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고, 뿌리는 약재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행을 하면서 어린 잎은 따서 바로 먹기도 하며 입안에 청량감이 좋습니다. 덩굴식물로 이웃하는 나무를 감고 올라가며, 줄기는 푸른색으로 모가 나 있고, 마디에서 구불어지며 단단한 가시도 있습니다. 잎은 길이가 5~14cm, 너비가 3~9cm이며, 앞면은 윤기가 나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입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약 0.5~2cm이며, 덩굴손이 2개 있습니다. 5~6월에 노란빛이 도는 녹색의 종모양의 꽃이 피며, 길이는 4~5cm 입니다. 9~10월에 지름 6~7mm의 검은색 열매가 익습니다. 청가시덩굴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 2021. 7.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