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377

비수리(야관문) 효능, 먹는 방법 비수리는 콩과의 식물로 산기슭이나 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고 나무처럼 줄기 밑이 단단해집니다. 비수리는 예전부터 싸리나무를 대신하여 빗자루로 만들어 사용했으며, 비싸리라는 명칭이 비수리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수리는 줄기의 대가 단단하고, 유연하게 때문에 말렸다가 소쿠리, 조리, 광주리 등으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습니다. 효능 비수리는 한방에서 '야관문'이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밤에 문의 빗장을 열게하는 식물이라는 뜻으로 남자의 양기를 회복시켜 준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야관문에는 플라보노이드, 피니톨, 페놀, 타닌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소염작용, 항산화, 항암작용 등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간, 신장, 콩팥의 기능을 강화하.. 2021. 7. 11.
마귀광대버섯 [독버섯] 마귀광대버섯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나 활엽수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서 발생합니다. 갓표면은 회갈색~황갈색이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백색의 사마귀점이 산재되어 있습니다. 갓의 직경은 4~25cm이며, 반구형에서 오목편평형으로 자랍니다. 턱받이가 있고, 기부는 부풀고 외피막 흔적이 반지처럼 남습니다. 중독증상은 일반적으로 어지럽거나 과다 섭취 시 발열, 혼수, 경련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버섯에 함유된 이보텐산-무시물 중독으로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며, 섭취 후 수시간 내에 증상이 발생하며 일시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24시간 이내에 회복이 됩니다. 2021. 7. 10.
새잣버섯(솔잣버섯) 새잣버섯은 늦봄에서 가을에 걸쳐 침엽수의 구루터기나 고목, 생나무 등에서 홀로 또는 다발로 나며, 썩기보다 마른채로 오래 동안 남아 있습니다. 버섯은 목재의 갈색 부패를 일으키며,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분포합니다. 갓 표면이 흰색에서 엷은 황갈색으로 황갈색 인편이 많고 건조하면 갓 표면이 갈라져 흰색의 살을 보여줍니다. 어린 것은 아니스향이나 솔향이 나고 식감이 좋은 식용버섯이나, 생식을 하면 위장장애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잘 익혀 먹어야 합니다. 새잣버섯의 갓은 지름 5~20cm이며, 발생초기의 어릴 때는 갓의 끝이 안쪽으로 강하게 말려 있어 거의 둥근 모양입니다. 점점 성숙하면서 낮은 반원모양을 거쳐 점차 편평하게 됩니다. 버섯의 자실층은 주름살로 되어 있으며 백색입니다. 자루에 붙은 내린형.. 2021. 7. 10.
가시상추 효능, 먹는 방법 가시상추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입니다. 원산지는 유럽으로 길가, 논둑, 밭둑, 개울가에서 잘 자랍니다. 꽃은 노란색 설상화로 6~8월에 피며, 높이는 60~130cm, 뿌리는 원기둥꼴이며, 잎은 어긋나고 상추와 비슷하지만 훨씬 길쭉하고, 날카롭습니다. 잎 끝은 부챗살처럼 펼쳐지는데 폭이 좁고, 8~10개의 뚜렷한 가시가 잎맥을 따라 나 있습니다. 90년대 수입농산물에 섞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분포지역이 무섭게 확대가 되면서 2012년 생태계교란 야생식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제초제에 저항성이 강해 작물 재배지에서도 피해를 주고 있으며, 천연염색 재료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효능 가시상추는 소화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위장과 관련한 질병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진통과 소염에도 효능이 있으며.. 2021. 7. 10.
망초의 효능, 먹는 방법 망초는 국과과의 두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 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귀화식물입니다. 구한말 개항(1876) 이후 유입되어 경숙국치(1910)을 전후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이상한 풀이 전국에 퍼지자, '나라가 망할 때 돋아난 풀'이라 하여 '망국초', '망초'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잎은 주걱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전체에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 있습니다. 높이는 50~200cm 정도이며, 줄기잎은 다닥다닥 달리고 어긋나며 밑부분의 것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합니다. 꽃은 7~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서 가지가 많이 돋아 전체적으로 큰 원추꽃차례를 형성하며 설상화는 중앙에 있는 관상화보다 약간 높으며 백색입니다. 먹는 방법 어린 잎은 살짝.. 2021. 7. 9.
뽕나무의 효능, 먹는 방법 뽕나무는 장미목 뽕나무과의 식물이며, 중국이 원산으로 학명은 Morus alba 입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뽀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부드러운 털이 있고 모양의 변이가 많아 한 가지에서도 서로 다른 모양으로 잎이 자라며, 잎을 따면 흰 즙이 나옵니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꽃이 피며, 수꽃은 길이 4~7cm, 암꽃은 0.5~1cm 정도입니다. 꽃이 지면 열매가 열리는데, 이 열매를 '오디'라 하며, 맛이 달고 부드러오며, 잼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뽕나무 열매(오디) 오디에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알라닌, 아스파라긴산이 함유되어 있어 숙취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루틴, 가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성인병 예방에도 좋고, 혈액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탈모 예.. 2021. 7. 9.
당귀의 효능, 먹는 방법 당귀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영국 왕립식물원의 자료에 따르면 당귀속(Angelica) 식물은 107종이며, 북반구 온대 지역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3 종류의 당귀가 있습니다. 토종인 참당귀(Angelical Gigas)와 일당귀(왜당귀, Angelica Acutiloba),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가 있으며, 이 중 90%가 참당귀(토당귀)이며, 약 10%가 일당귀 입니다. 당귀(當歸)는 '마땅히 돌아온다'라는 뜻으로 관련된 이야기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전쟁터에 나가는 남자에게 당귀를 챙겨줬으며, 전쟁 중 기진맥진할 때 당귀를 먹으면 기운이 돌아온다고 해서 당귀라고 했다고 합니다. 또 다른 하나는 '여자들의 인삼'이라고 하여, 몸이 허약해 시집에.. 2021. 7. 9.
찔레나무 효능, 먹는 방법 찔레꽃의 학명은 'Rosa Multiflora'이며, 영어 이름은 야생장미를 뜻하는 'wild Rose' 입니다. 이름에서 보듯이 장미과의 일종이며, 우리가 흔히 아는 장미꽃은 18세기 말에 찔레꽃을 개량한 것 입니다. 찔레는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냇가와 골짜기에서 자라며, 가지는 1~2m로 많이 갈라지고, 줄기에는 가시가 있으며,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고, 꽃은 5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 색으로 새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피어납니다. 찔레는 석산호, 열매는 영실 또는 색미자라는 약재로 한방에서 사용하며, 민간약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꽃, 열매, 뿌리, 새순 및 뿌리에 기생하는 버섯 등을 약재로 사용합니다. 효능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된 찔레 열매는 6~9mm로 9월에 붉게 익으며, .. 2021. 7. 8.
인동초 효능, 먹는 방법 인동초는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식물입니다. 꽃이 하얗게 피었다가 노랗게 변하기 때문에 얼핏보면 흰색과 노란색이 함께 피는 것으로 볼 수도 있기에 '금은화'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동초는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꽃만을 따로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합니다. 잎과 줄기는 가을에 선선한 그늘에 말렸다가 차로 마시기도 하며, 식혜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인동초의 줄기나 잎을 깨끗이 씻은 후 끓여서 그 물로 입안을 헹구면 입냄새 제거에 좋은 천연 가그린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약제로 복용하실 수 있으며, 감기, 종기, 해열, 이뇨, 간염 등에 효과가 좋습니다. 인동초는 강한 항균작용과 독을 푸는데 사용됩니다. 꽃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고 약간 씁니다. 열을.. 2021. 7. 7.
하수오 효능, 먹는 방법 하수오는 덩굴 식물로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와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로 구분됩니다. 자양강장제로 사용되는데, 그 맛은 쓰면서도 떫은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계속 씹다가 보면 밤맛, 고구마맛, 배추뿌리맛 등의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하수오는 신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며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해주며 잔병없이 장수하게 만드는 약초로 사용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인삼, 구기자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는 하수오를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다. 염증을 삭이고 담을 없애며, 치질, 종기, 만성피로에 의한 몸이 마르고,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해준다. 또한 기와 혈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2021. 7. 5.
고사리 효능, 먹는 방법 고사리는 푹 삶은 후 육개장에 넣으면 마치 찢어 넣은 소고기 양지머리와 같은 맛과 식감이 느껴집니다. 말린 토란줄기를 함께 넣어주면 금상첨화의 육개장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고사리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펴져 있는 양치류로 고생대 때 부터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있는 식물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고사리류는 신생대 초부터 나타났습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식용되고 있으며, 익히거나, 날 것으로 소금에 절인 후 말려서 먹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명절에 나물로 먹거나, 육개장, 비빔밥에 들어가는 필수(?) 식재료입니다. 단순히 먹는 것 외에도 뿌리는 녹말로 만들어 그 전분으로 빵이나 떡을 빚을 수 있고, 잎과 뿌리줄기는 맥주를 만드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기생충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몸의 염증.. 2021. 7. 5.
덕다리버섯 효능, 먹는 방법 덕다리버섯의 종명(種名) 'Sulphureus'은 '유황색 또는 밝은 황색을 가진'이라는 뜻을 가리킵니다. 버섯의 냄새는 유황처럼 썩은 달걀냄새와 비슷하며, 맛은 마치 닭고기 맛과 비슷하다고 하여 영어 이름은 'Chicken of the Woods(숲의 닭고기)'입니다. 육질은 마치 닭고기 가슴살을 찢는 것과 같으며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생목 또는 고목에서 자라며, 버섯대는 거의 퇴화되어 나무에 붙어서 자랍니다. 균모는 황색 또는 밝은 오랜지 황색에서 퇴색하고 미세한 털이 있기도 하며 띠가 형성됩니다. 가장자리도 같은 색이며 얇고 물결형이며 얕게 갈라집니다. 버섯갓은 부채꼴 또는 반원형으로 여러 개 중첩되어 30cm 내외의 버섯덩어리로 되며, 하나하나의 버섯갓은 너비 5~20cm, 두께 1~2c.. 2021. 7. 5.
곰보버섯 효능, 먹는 방법 곰보버섯은 생긴 모양이 징그러워 흔히 독버섯이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러나 특별한 풍미를 가진 아주 우수한 식용버섯으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인기가 좋은 버섯입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식재료뿐 아니라 초코렛, 와인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등 인기가 높아 비싼 가격에 거래되며,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건조 곰보버섯은 kg당 40~50만원이 넘는다고 하네요. 곰보버섯은 4~5월의 봄에 숲 속이나 나뭇가지가 많은 곳에서 자라나며, 균근성 버섯으로 자실체는 지름 3~5cm, 높이 5~14cm 정도의 중형 버섯입니다. 조직은 무르고 망목상의 울퉁불퉁한 갓과 하얀 대를 짜르면 피망과 같이 속이 비어 있습니다. 효능 중국에서는 곰보버섯을 맛이 달고 차며 독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위장강화에 좋아 소화불량에 사용하였.. 2021. 7. 3.
망태버섯 효능, 먹는 방법 망태버섯은 수분을 충분히 흡수했을 때 알이 형성되고 아침에 피었다가 3시간 이내로 시들어 사라지는 특이한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잠시 동안만 모습을 드러내고 사라져 버리는 특성 때문에 '찰나의 보약'이라고도 불립니다. 망태버섯은 말뚝버섯과 균류식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에서 서식을 하며, 피어나기 전에는 뱀알과 같은 형태이나 부화를 하면 완전한 망태버섯의 형태로 성장을 합니다. 이때 망태버섯의 모습은 마치 여왕의 드레스를 입은 것과 같다고 하여 '버섯의 여왕'이라고도 불립니다. 썩은 대나무 잎의 영양분을 흡수하여 자라며 버섯갓은 주름 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며, 강한 냄새로 벌레를 유인해 씨를 퍼트려 번식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식용이 가능하고 중국에서는 건조품을 죽손(竹荪)이라 하여 고급 요리의 식재료로.. 2021. 7. 3.
노루궁뎅이버섯 효능, 먹는 방법 노루궁뎅이버섯은 노루의 엉덩이 털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특별한 맛이나 향은 없지만 식감이 좋고, 담백하며 생으로 바로 먹을 수도 있습니다. 주로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생목이나 썩은 고목에서 자라는데, 요즘은 자연산 버섯을 찾기가 많이 어렵다고 하네요. 노루궁뎅이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지질과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도 효과적 입니다. 면역력 강화, 혈전개선, 항암효과 등 일반적인 버섯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치매예방, 신경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위 기능 개선 노루궁뎅이버섯에 다량 함유된 '올레아노락산'은 위벽을 보호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위장기능 개선, 위산분비 조절을 돕는 효능이 있으며, 복합아미노산, 다당체,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 2021. 7.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