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음식과 건강222

붉은토끼풀 효능, 먹는 방법 붉은토끼풀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유럽이 원산으로 전 세계에서 자라며, 토끼풀처럼 잎 표면에 흰 무늬가 있습니다. 붉은토끼풀은 높이 30~6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의 3출엽 입니다. 잎 하나의 길이는 3~5cm, 너비는 1~3cm로 달걀형이거나 긴 타원형입니다.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자주빛 또는 홍자색 꽃이 빽빽하게 모여 두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주로 강가나 냇가의 풀밭 등 물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큰토끼풀에 비해 잎이 두 세배 정도 더 크고 중앙에 흰 문양이 선명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효능 붉은토끼풀은 이소플라본 성분이 콩의 20배에 달하고, 다양한 비타민(B1, B2, E, K)이 풍부하며, 쿠마르산, 시토스테롤, 람네틴,.. 2021. 9. 4.
기와버섯 효능, 먹는 방법 기와버섯은 무당버섯속의 버섯으로 학명은 이며, 식용버섯입니다. 무당버섯속의 버섯들은 대부분 빨간색이 많으나 특이하게 초록색 갓을 가지고 있습니다. 옛날 우리나라의 기와 위에 초록색 이끼가 낀 모습을 연상하여 기와버섯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다른 이름은 청버섯, 청갈버섯이라고도 합니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 숲속 땅위에서 소수가 자생하기 때문에 채취하기가 쉽지 않으나, 미국에서는 무당버섯속 버섯 가운데 가장 향과 맛이 좋은 버섯이라고 합니다. 기와버섯은 초기에 반구형이나 성숙하면서 편평형 또는 중앙이 오목한 편평형으로 변하며, 표면은 건성으로 녹색 또는 회녹색입니다. 표피는 불규칙한 다각형이나 거북이 등껍질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라지는 틈으로는 유백색의 조직이 보입니다. 주름살은 대에 떨어진 주름살형이.. 2021. 9. 3.
속단 효능, 먹는 방법 속단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끊어진 근골을 이어준다는 해서 한약명도 속단(續斷)이라 하며, 관절과 뼈, 근육의 통증, 골절상 등에 도움을 주는 약재입니다. 주로 야산이나 숲속에서 자생하며, 습기가 많고 약간 그늘진 비옥한 토지에서 잘 자랍니다. 크기는 1m까지 자라며, 줄기는 사각이며, 잔털이 많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하트 모양입니다. 잎의 길이는 10~13cm, 너비는 8~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4~5개씩 층층이 돌아가면서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입술꽃인데 윗입술은 모자 모양으로 흰 털이 많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집니다. 효능 속단은 맛이 쓰고 매우며,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약성은 간과 신장에서 작용합니다.. 2021. 9. 3.
제비꽃 효능, 먹는 방법 제비꽃은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제비가 돌아올 무렵에 꽃이 핀다고 해서 제비꽃이라고 부르는 설과 꽃의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아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옛날에 이 꽃이 필 무렵이면 북쪽에서 오랑캐들이 쳐 들어왔다고 해서 오랑캐꽃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꽃 뒤쪽에 있는 꿀주머니가 오랑캐의 머리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제비꽃은 우리나라에만 60여종 가까이 있을 정도로 종류가 많습니다. 모양과 형태 및 꽃의 색깔도 자색, 흰색, 노란색 및 혼합된 색까지 아주 다양합니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색은 자색이며,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긴 자루로 자라는 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옆으로 비스듬히 퍼집니다. 높은 산의 숲속.. 2021. 9. 3.
싸리버섯 효능, 먹는 방법 싸리버섯은 싸리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입니다. 보통의 버섯의 형태와 달리 전체가 싸리비나 산호초 모양을 하고 있어서 싸리버섯이라고 하며, 가지 끝이 쥐의 다리 끝과 아주 흡사하기 때문에 ‘쥐버섯’, ‘쥐다리’라고도 부릅니다. 싸리버섯은 가을철 소나무와 참나무 혼합림에서 발생하며,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이 식용이 가능합니다. 송이싸리, 참싸리, 물싸리, 좀싸리, 물푸레싸리, 자주싸리, 광대싸리, 붉은싸리, 노랑싸리, 창싸리, 다박싸리, 황금싸리 등이 있으며, 여기서 빨강싸리, 노랑싸리, 황금싸리는 독성이 있어 가능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싸리버섯에는 비타민B2, C, D, 프로비타민D2 등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망간, 아연, 철분 등 다양한 무기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2021. 9. 1.
배젖버섯 효능, 먹는 방법 배젖버섯은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입니다. 상처가 났을 때 흰 유액이 분비되기 때문에 배젖버섯이라고 부르며, 국물요리에서 시원한 맛을 내는 식용버섯입니다. 갓은 지름 5~12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반구형으로 갓 끝이 안쪽으로 굽어 있으나, 성장하면서 갓 끝이 펴지고 중앙이 깔대기 모양으로 됩니다. 표면은 황갈색으로 매끄럽거나 가루 같은 것이 있습니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 형태로 다소 빽빽하고, 흰색 또는 연한 황색입니다. 조직에 상처를 주면 흰 유액이 나오는데 시간이 지나면 갈색으로 변합니다. 대의 표면은 갓과 같은 색을 띠며, 포자문은 백색이고, 포자모양은 구형이며 표면에 망목이 있습니다.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 땅위에 단생 또는 군생하며 참나무와 공생관계에 있는 균.. 2021. 9. 1.
독흰갈대버섯[독버섯] 독흰갈대버섯은 주름버섯과 흰갈대버섯속에 속하며 학명은 입니다. 예전의 이름은 흰독큰갓버섯으로 학명은 로 불렸습니다. 흰갈대버섯속(Chlorophyllum)은 대형의 버섯을 형성하며 갓 표면이 크고 편평하며 갈색 또는 연한색의 인편이 있고, 대에는 고리가 있습니다. 포자는 색이 없거나 초록색이며 대부분 절각형의 발아공이 없고 측생낭상체도 없습니다. 흰독큰갓버섯은 D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큰갓버섯속에서 흰갈대버섯속으로 편입이 되었으며, 현재 흰갈대버섯속에는 16종이 있습니다. 이 속의 버섯은 큰갓버섯과 비슷해 보이는 버섯이 많고, 독버섯이 많으므로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독흰갈대버섯의 갓 중앙에는 갈색 또는 회갈색 표피 인편이 있으며, 대는 허연색 고리가 있습니다. 갓은 7~10cm 정도이며, 구형.. 2021. 8. 31.
소리쟁이 효능, 먹는 방법 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바람이 불면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소리풀', '소루쟁이'라고도 합니다. 약간 습한 땅을 좋아하고 전국의 어디에서나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어린잎과 순은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은 좀 있다. 대변을 잘 통하게 하고 해독하며 출혈을 멈추고 살충한다. 살균작용, 수렴작용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살균작용은 안트라글루코시드와 탄닌글루코시드에 의하여 나타난다. 다량에서는 설사를 읽으키는 데 이것은 안트라키논 화합물에 의한 것이다. 변비, 토혈, 설사, 이질, 구토, 습진, 옴, 소양증(瘙痒症), 태선(胎癬) 등에 쓴다.”고 기록되어 있.. 2021. 8. 30.
큰갓버섯 큰갓버섯은 주름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은 입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풀밭, 목장, 숲 속에서 자생하며, 초식동물의 배설물 위에서도 발생합니다. 제주도에서는 말똥에서 발생한다고 하여 ‘말똥버섯’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식용버섯으로 특별한 맛은 없으나, 크고 살이 연해서 무침이나 찌개, 튀김 등으로 많이 이용하는 버섯입니다. 갓은 지름 5~30cm 정도이며, 처음에는 구형이나 성장하면서 편평해집니다.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표피가 갈라지면서 생긴 적갈색의 거친 섬유상의 인편이 동심원상으로 덮고 있습니다. 대는 15~30cm 정도로 길고 원통형이며 표면은 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성장하면서 표피가 갈라져 뱀 껍질 모양을 이루게 됩니다. 대의 속은 비어 있어서 쪼개면 세로로 길게 찢어집니다. 기부는 구근상.. 2021. 8. 29.
등갈색미로버섯 효능, 먹는 방법 등갈색미로버섯은 잔나비버섯과의 버섯으로 학명은 이며, 여름과 가을에 쓰러진 참나무나 밤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서 발생합니다. 보통 1년생이지만 종종 여러 해를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버섯의 갓은 불규칙한 반원형 또는 편평형으로 크게는 20cm까지 자리며 두께는 1~3cm 정도입니다. 갓 표면은 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고리홈과 방사상의 가는 주름이 있으며, 갓의 끝은 예리하게 나 있습니다. 관공은 아주 촘촘한 미로형으로 생겼기에 버섯의 이름을 ‘등갈색+미로버섯’입니다. 버섯의 특징은 갈색 형태를 띠고, 위에 사마귀처럼 튀어나와 있으며, 밑면은 미로의 형태입니다. 약용버섯으로 종양억제률이 상황버섯에 버금갈 정도로 높기 때문에 항암, 항종양, 항염 치료에 크게 효과가 있습니다. 장수버섯 등 다른 약용버섯과 마찬가.. 2021. 8. 29.
흰알광대버섯[독버섯] 흰알광대버섯은 광대버섯과에 속하는 맹독버섯으로 학명은 이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염수림 또는 활엽수림의 땅 위에 단독으로 피어납니다. 갓은 지름 5~8cm로 반구형에서 편평형으로 성장하며, 갓 표면은 흰색 또는 담황백색을 띠고 평활하며 습할 때에 약간의 점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주름살은 흰색이고, 주름의 폭은 빽빽하며 끝이 대에 붙은 형태입니다. 대의 길이는 7~10cm, 지름은 1~2cm로 원통형이며 표면은 흰색을 띠고 흰 가루가 묻어 있습니다. 턱받이는 흰색의 막질형이며, 대주머니는 얇은 막질입니다. 언 듯 보기에는 흰가시광대버섯(닭다리버섯)과 비슷하나, 흰가시광대버섯은 갓 표면의 가시가 있으나 흰알광대버섯은 갓 표면이 매끄럽게 생겼습니다. 때때로 흰가시광대버섯의 노균화가 진행되면서 가시가 없어졌다.. 2021. 8. 29.
말불버섯 효능, 먹는 방법 말불버섯은 말불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서양의 배(Pear)처럼 생겼다고 하여 로, 흔히 먼지버섯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우리나라 전 지역의 산, 길가, 공원 같은 곳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몸 전체가 공 모양으로 포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버섯이며, 크기는 높이 3~7cm, 지름 2~5cm로 어렸을 때는 백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돌기로 뒤덮였으나, 성장하면서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습니다. 속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폰지 형태로 벽면에 포자가 형성되어 있으나, 성장하면서 살은 황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포자가 먼지와 같이 흩어집니다. 영어속명은 이라고 하는데, 한국에.. 2021. 8. 29.
흰털깔대기버섯 흰털깔대기버섯은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임시학명은 이고,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숲 낙엽이 많은 곳에서 균환을 이루며 다량으로 발생합니다. 흰털깔대기버섯은 2009년 국립산림과학원 조사팀이 제주도 한라산 1200~1600m 침엽수림에서 발견을 했으며, 아직까지 세계 버섯도감에는 오르지 않았기에 정식명칭이나 정식학명이 없는 미기록종 버섯입니다. 충청도 일부 지역에서는 흰털깔대기버섯을 '땅느타리버섯'이라 부르고, 식용을 합니다. 식당의 버섯전골에도 흔하게 사용되는 식재료이며,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버섯입니다. 버섯 갓은 흰색으로 갓끝이 안으로 말려 있는 깔대기형이며, 어릴 때는 둥근 모양이지만 점차 성장하면서 파도형으로 자랍니다. 갓에는 흰색털이 밀생하였다가 성장을 하면서 없어지기도 합니다. .. 2021. 8. 27.
뽕나무버섯부치 뽕나무버섯부치는 주름버섯목 방울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이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그루터기, 살아 있는 나무에서 군락 형태로 다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합니다. 식용버섯이나 소화가 잘 되지 않으므로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버섯 갓은 지름 4~6cm이고,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 검은색의 미세한 인편이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줄무늬 선이 나타납니다. 살은 백색 또는 황색입니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내린주름살이고 백색인데 연한 갈색의 얼룩이 있습니다. 버섯 자루는 길이 5~8cm, 굵기 0.5~1cm이고, 색상은 황색 또는 엷은 흑색이며,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섬유상입니다. 비슷한 버섯으로 뽕나무버섯이 있으며, 다른 점은 뽕나무버섯은 흑갈색의 섬유상 털이 나 있고, 주름살.. 2021. 8. 27.
노란대망그물버섯 노란대망그물버섯은 그물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로, ‘밤색갓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의 땅에서 군집하여 자라거나 단독으로 자라납니다. 식용버섯이며, 살은 노란색으로 두껍고 단단하며 쓴맛이 있어 살짝 데쳤다가 찬물에 적당히 우려서 먹으면 나름 괜찮습니다. 버섯 갓은 지름 4~8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집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담황 갈색, 갈색, 암황 갈색으로 벨벳 모양이며, 조직은 황색입니다. 자루는 굵기 1~3cm, 길이 5~11cm 정도이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단단합니다. 표면은 황색으로 융기된 망목상 무늬가 있으며, 약간의 노란색 분말이 붙어 있는 듯하며, 기부에는 백색의 균사가 있고 속이 차 있습니다. 이 버섯의 특징은 버섯대가 .. 2021. 8.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