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토끼풀 효능, 먹는 방법
붉은토끼풀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유럽이 원산으로 전 세계에서 자라며, 토끼풀처럼 잎 표면에 흰 무늬가 있습니다. 붉은토끼풀은 높이 30~6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의 3출엽 입니다. 잎 하나의 길이는 3~5cm, 너비는 1~3cm로 달걀형이거나 긴 타원형입니다.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자주빛 또는 홍자색 꽃이 빽빽하게 모여 두상꽃차례를 이룹니다. 주로 강가나 냇가의 풀밭 등 물가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큰토끼풀에 비해 잎이 두 세배 정도 더 크고 중앙에 흰 문양이 선명하여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효능 붉은토끼풀은 이소플라본 성분이 콩의 20배에 달하고, 다양한 비타민(B1, B2, E, K)이 풍부하며, 쿠마르산, 시토스테롤, 람네틴,..
2021. 9. 4.
속단 효능, 먹는 방법
속단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끊어진 근골을 이어준다는 해서 한약명도 속단(續斷)이라 하며, 관절과 뼈, 근육의 통증, 골절상 등에 도움을 주는 약재입니다. 주로 야산이나 숲속에서 자생하며, 습기가 많고 약간 그늘진 비옥한 토지에서 잘 자랍니다. 크기는 1m까지 자라며, 줄기는 사각이며, 잔털이 많습니다. 잎은 마주나며 하트 모양입니다. 잎의 길이는 10~13cm, 너비는 8~10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7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4~5개씩 층층이 돌아가면서 피며, 연한 보라색으로 입술꽃인데 윗입술은 모자 모양으로 흰 털이 많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집니다. 효능 속단은 맛이 쓰고 매우며,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약성은 간과 신장에서 작용합니다..
2021. 9. 3.
싸리버섯 효능, 먹는 방법
싸리버섯은 싸리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입니다. 보통의 버섯의 형태와 달리 전체가 싸리비나 산호초 모양을 하고 있어서 싸리버섯이라고 하며, 가지 끝이 쥐의 다리 끝과 아주 흡사하기 때문에 ‘쥐버섯’, ‘쥐다리’라고도 부릅니다. 싸리버섯은 가을철 소나무와 참나무 혼합림에서 발생하며,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이 식용이 가능합니다. 송이싸리, 참싸리, 물싸리, 좀싸리, 물푸레싸리, 자주싸리, 광대싸리, 붉은싸리, 노랑싸리, 창싸리, 다박싸리, 황금싸리 등이 있으며, 여기서 빨강싸리, 노랑싸리, 황금싸리는 독성이 있어 가능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싸리버섯에는 비타민B2, C, D, 프로비타민D2 등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망간, 아연, 철분 등 다양한 무기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2021. 9. 1.
소리쟁이 효능, 먹는 방법
소리쟁이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바람이 불면 소리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소리풀', '소루쟁이'라고도 합니다. 약간 습한 땅을 좋아하고 전국의 어디에서나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어린잎과 순은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에서는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은 좀 있다. 대변을 잘 통하게 하고 해독하며 출혈을 멈추고 살충한다. 살균작용, 수렴작용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살균작용은 안트라글루코시드와 탄닌글루코시드에 의하여 나타난다. 다량에서는 설사를 읽으키는 데 이것은 안트라키논 화합물에 의한 것이다. 변비, 토혈, 설사, 이질, 구토, 습진, 옴, 소양증(瘙痒症), 태선(胎癬) 등에 쓴다.”고 기록되어 있..
2021. 8. 30.
말불버섯 효능, 먹는 방법
말불버섯은 말불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서양의 배(Pear)처럼 생겼다고 하여 로, 흔히 먼지버섯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우리나라 전 지역의 산, 길가, 공원 같은 곳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몸 전체가 공 모양으로 포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버섯이며, 크기는 높이 3~7cm, 지름 2~5cm로 어렸을 때는 백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돌기로 뒤덮였으나, 성장하면서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습니다. 속살은 처음에는 백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폰지 형태로 벽면에 포자가 형성되어 있으나, 성장하면서 살은 황색 또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포자가 먼지와 같이 흩어집니다. 영어속명은 이라고 하는데, 한국에..
2021. 8. 29.
노란대망그물버섯
노란대망그물버섯은 그물버섯과에 속하며 학명은 로, ‘밤색갓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의 땅에서 군집하여 자라거나 단독으로 자라납니다. 식용버섯이며, 살은 노란색으로 두껍고 단단하며 쓴맛이 있어 살짝 데쳤다가 찬물에 적당히 우려서 먹으면 나름 괜찮습니다. 버섯 갓은 지름 4~8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집니다.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담황 갈색, 갈색, 암황 갈색으로 벨벳 모양이며, 조직은 황색입니다. 자루는 굵기 1~3cm, 길이 5~11cm 정도이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단단합니다. 표면은 황색으로 융기된 망목상 무늬가 있으며, 약간의 노란색 분말이 붙어 있는 듯하며, 기부에는 백색의 균사가 있고 속이 차 있습니다. 이 버섯의 특징은 버섯대가 ..
2021.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