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물] 개별꽃
개별꽃은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Pseudostellaria heterophylla'입니다.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중국에서는 장쑤성, 산시성 등 남부 지역에서 자랍니다. 높이는 10~15c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위쪽 잎은 크고 피침형이며, 아래쪽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 모양입니다. 방수형의 뿌리는 1~2개씩 붙어 있으며, 줄기는 1~2개씩 나오며 흰털이 나 있습니다. 싹은 눈이 녹기도 전에 일찍이 나오며, 4~5월에 흰꽃이 잎겨드랑이에 1송이씩 피는데 꽃잎은 5장으로 약 6mm 입니다. 6~7월에 익는 열매는 삭과로 둥근 난형이며, 3갈래로 갈라집니다. 석죽과의 식물들에는 별꽃, 쇠별꽃, 긴개별꽃, 참개별꽃, 점나도나물, 벼룩나물, 벼룩이자리, 장구채, 패랭이 같은..
2022. 4. 21.
[봄나물] 바디나물
바디나물은 미나리과 당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Angelica decursiva'입니다. 한반도 전역의 산과 들의 습지 근처에 서식하며 논이나 계곡, 물가에서 잘 자랍니다. 줄기는 비어있고 80~150cm 정도로 곧게 섭니다. 잎은 2~3회 우상으로 연약하며 뒷면 맥위에 망모가 산생하며, 어긋나고 깃모양 겹잎인데 작은 잎은 피침형이고, 잎 밑이 잎줄기로 흘러 날개 모양을 이룹니다. 5~6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 꽃이 가지나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6~8mm 정도의 타원형이며 익으면 검게 되고, 사상자와 비슷하나 피침형이고 가시같은 털이 없는 것이 다릅니다. 어린잎은 나물로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으로 이용합니다. 한방 및 민간에서 뿌리를 말린 것을 전호(前胡)라 하여 두통, 진통, 진해, 거담, 기관..
2022. 4. 21.
송근봉(소나무뿌리) 효능, 먹는 방법
송근봉(松根峰)은 소나무 뿌리에 혹이 달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소나무 뿌리에 균사체가 유입되어 혹처럼 자라나는 뿌리혹으로 소나무가 양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소나무에게는 독이 될 수 있지만, 사람에게는 어혈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있어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복령과 비슷하지만 송근봉은 살아있는 소나무에서 자라고, 복령은 죽어있는 나무에서 자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복령은 조선시대 영조가 장수의 비결로 꼽은 영약으로 그 효능은 항암효과, 이뇨작용, 신장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에서 송근봉은 “허한 기를 달래주고 오장의 기를 보충하여 심계항진, 불면증, 만성 위염, 설사, 붓기, 복수, 간, 신장에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로부터 근..
2021. 12. 28.
뽀리뱅이 효능과 먹는 방법
뽀리뱅이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학명은 입니다. 뽀리라는 말은 뿌리에서 줄기가 돋아나는 모습에 대한 남부지방의 사투리이며, 뱅이는 고들빼기의 ‘빼기’처럼 사물이나 사람을 일컫는 접미사입니다. 뽀리뱅이의 다른 이름은 황암채(黃鵪菜), 고채약(苦菜藥), 황화채(黃花菜), 박주가리나물, 박조가리나물, 보리뱅이, 뽀리뱅이 등이 있습니다. 뽀리뱅이는 고들빼기와 같은 속으로 잎 모양은 민들레와 비슷하며 맛은 고들빼기처럼 씁니다. 고들빼기는 까치고들빼기, 이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뽀리뱅이 등 전 세계 29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토종 및 외래종 뽀리뱅이의 종류는 그늘뽀리뱅이, 서양뽀리뱅이, 긴꽃뽀리뱅이, 개뽀리뱅이 등이 자라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비롯한 한국의 전역에서 볼 수 있는 뽀리뱅이는 일본,..
2021.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