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털깔대기버섯은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임시학명은 <Clitocybe sp.>이고,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숲 낙엽이 많은 곳에서 균환을 이루며 다량으로 발생합니다.
흰털깔대기버섯은 2009년 국립산림과학원 조사팀이 제주도 한라산 1200~1600m 침엽수림에서 발견을 했으며, 아직까지 세계 버섯도감에는 오르지 않았기에 정식명칭이나 정식학명이 없는 미기록종 버섯입니다.
충청도 일부 지역에서는 흰털깔대기버섯을 '땅느타리버섯'이라 부르고, 식용을 합니다. 식당의 버섯전골에도 흔하게 사용되는 식재료이며,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버섯입니다.
버섯 갓은 흰색으로 갓끝이 안으로 말려 있는 깔대기형이며, 어릴 때는 둥근 모양이지만 점차 성장하면서 파도형으로 자랍니다. 갓에는 흰색털이 밀생하였다가 성장을 하면서 없어지기도 합니다.
주름은 내린형이고, 다소 빽빽하고 처음에는 흰색이며 성장하면서 연갈색으로 변합니다. 버섯 대는 흰색이고 섬유상 줄무늬가 있으며, 상처가 났을 때 갈변합니다.
노균 또는 성장이 완료된 것은 식용하지 않으며, 버섯 갓이나 버섯대의 상태가 깨끗한 어린 것으로만 채취를 합니다. 채취한 버섯은 이동과정에서 서로 부딪히면 잘 부서지거나 찢어져서 집에 도착을 하였을 때 상태가 엉망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버섯은 잘 손질하여 소금을 넣은 끓는 물에 데친 후 찬물로 우려내고 냉장보관을 하시면서 드시면 좋습니다. 향이 강하지 않고 식감이 좋아서 무침, 볶음, 찌개, 전골 등 다양한 요리로 즐길 수 있습니다.
'음식과 건강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알광대버섯[독버섯] (0) | 2021.08.29 |
---|---|
말불버섯 효능, 먹는 방법 (0) | 2021.08.29 |
뽕나무버섯부치 (0) | 2021.08.27 |
노란대망그물버섯 (0) | 2021.08.27 |
귀신그물버섯 (0) | 2021.08.26 |
댓글